엔터프라이즈 인공지능(AI) 전문 마키나락스(대표 윤성호)가 기존 산업 특화 AI 기술을 기반으로 ‘데이터센터 자동화’ 사업 기회를 모색 중이라고 밝혔다. 여기에 '산업용 버티칼 AI 에이전트'를 투입하겠다고 전했다.
마키나락스는 로크웰 오토메이션, 어니언소프트웨어, 시스코 등과 14일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데이터센터 혁신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데이터센터 산업의 도전 과제 및 향후 비전을 설명하는 자리였다.
특히 ‘데이터센터 운영 인력의 부족’이 주요 문제로 지적됐다. 데이터센터의 수는 점차 증가할 전망이지만, 그에 비해 전문 인력이 현저히 부족하다는 말이다.
주요 해결책으로는 ‘AI 기반 데이터센터 운영 자동화 및 효율성 극대화’가 꼽혔다. 그중 마키나락스는 대형언어모델(LLM)을 기반으로 복잡한 데이터 관리, 분석, 제어를 담당한다고 밝혔다.
허영신 마키나락스 CBO는 “데이터센터 관리에 필요한 기술력은 기존 제조 산업 현장 관리와 크게 다르지 않다”라며 “이제까지 쌓아온 레퍼런스를 바탕으로 한다면 충분히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예를 들어 데이터센터 내부에는 수많은 유형의 데이터 및 문서가 산재할 수밖에 없다. 일반 산업 현장만 예로 들어도 ERP, MES, SCM 등 수많은 센서 및 설비에서 출력되는 방대한 양의 로우 데이터가 존재한다.
허영신 CBO는 이를 처리하기 위해서 "알아서 판단하고 행동할 수 있는 '산업용 버티컬 AI 에이전트'를 투입하겠다"라고 밝혔다.
마키나락스의 AI 에이전트는 “기존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RPA)와 비교했을 때 가장 차별화되는 점은 ‘정형화되지 않은 워크플로우’까지 자동화할 수 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AI 에이전트는 데이터를 통해 학습, 스스로 판단, 자율적으로 작업을 수행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라며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분석해 스스로 워크플로우를 생성하는 추론 능력을 기반으로 한다”라고 말했다.
산업 현장의 ‘이상탐지 AI 모델’을 예로 들었다. AI 모델이 장비의 이상을 사전에 탐지하면 먼저 ‘검색 AI 에이전트’가 적합한 사례 및 데이터를 검색해 원인을 알려준다.
이어 '분석 에이전트'가 설비에서 수집한 데이터, 로봇의 조치 기록, 매뉴얼 데이터 등에 접근해 구체적 분석 결과를 제공한다. 이를 바탕으로 ‘제어 에이전트’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코드를 생성, 실질적으로 장비를 제어한다.
이처럼 기존에는 작업자가 설비를 멈추고 직접 제어해야 했던 과정을 LLM을 결합해 자동화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마키나락스는 이렇듯 다양한 벡터 데이터베이스, API, AI 모델, 에이전트, 에이전틱 시스템이 상호작용하는 시스템을 ‘컴파운드 AI 시스템’이라고 정의했다. 더불어 시스템 전체를 모니터링하는 ‘에이전트 오케스트레이션’도 필수적이라고 설명했다.
그리고 마키나락스가 산업용 버티컬 AI 에이전트를 실현할 수 있는 ‘런웨이’와 같은 AI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플랫폼을 이용해 다양한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활용, 에이전트를 간편하게 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허영신 CBO는 “이런 레퍼런스를 기반으로 데이터센터 자동화 부문에 도전, 올해 전체 사업 선정 건 중 10~20% 정도를 차지하게 목표”라며 “리포트 오토메이션, 코드 제너레이션 등 기존 제조 산업 현장의 자동화를 점진적으로 이뤄온 만큼 버티컬 AI 에이전트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컨퍼런스에서 키노트 발표를 맡은 조창희 어니언소프트웨어 대표는 “싱가포르에서는 데이터센터 운영 인력의 임금이 2배 이상 올라간 상황”이라고 소개했다. 그만큼 인력 부족이 심각하다는 설명이다.
장세민 기자 semim99@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