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GI 발전 예상도 (사진=과기정통부)
AGI 발전 예상도 (사진=과기정통부)

정부가 차세대 일반인공지능(AGI) 개발을 위한 예비타당성 조사에 착수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는 24일 '2025년 제1회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총괄위원회'를 열고 2024년 4차 국가연구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선정 결과를 확정했다.

여기에는 ‘실세계 이해와 적용을 위한 일반인공지능(AGI) 핵심 원천 기술개발 사업’이 포함됐다. 이는 2032년까지 AGI 2단계 달성을 위한 세계 최초 및 최고 수준의 핵심 원천기술을 연구·확보하는 사업이다. 

과기정통부는 AGI 2단계를 ▲실세계에서 인간을 능가하는 성능 ▲여러 도메인에 걸쳐 지식을 일반화 ▲사람 및 다른 인공지능체계와 원활한 협업 ▲새로운 도구를 자율적으로 생성하는 법을 학습 ▲특정 사용자의 기본 설정을 정확하게 따르는 능력을 확보한 단계 등으로 설명했다.

이 사업에서는 AGI 개발의 기초가 되는 인간 수준의 실세계 이해와 적용 능력(인지·표현 인공지능)이나, 기억과 자율적 지식의 축적 및 성장 능력(기억·성장 인공지능), 상호작용과 행동을 위한 적응 및 수행 능력(체화·연결 인공지능)을 구현하기 위한 원천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AGI 1~3레벨 (사진=ICLR)
AGI 1~3레벨 (사진=ICLR)

이를 통해 장기적으로 해외 AI 기술 의존도를 낮추고, 신시장 창출과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과기정통부는 "차세대 AGI 개발에는 막대한 투자 비용과 기간이 필요하나, 우리나라 민간 AI 투자는 세계 투자 규모에 비해 저조한 상황"이라며 "기술경쟁 주도권 확보를 위한 국가의 대규모 투자 필요성이 인정돼 이번 예타 대상으로 선정됐다"라고 설명했다.

향후 예타를 통해 사업의 상세한 규모와 범위 등이 구체화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불확실한 미지의 영역인 AGI의 특성, AGI 핵심원천기술 개발·확보의 필요성·도전성 등을 중점 고려, 전략적 관점에서 도전적·체계적 연구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예타에 적극 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예타를 통과하면 AGI 개발 사업은 2026년부터 2032년 7년간 진행되며, 총사업비는 9313억원이 들어간다. 이중 국고가 8875억원, 민자가 438억원 투입된다.

류광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2025년 과학기술혁신본부의 임무는 투자의 확실한 선택과 집중, 그리고 선도형 연구개발로의 전환 본격화”라며 “예타 대상으로 선정한 사업은 적기 추진을 위해 신속하게 조사하되, 투자가 최고의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사업 전반을 면밀하게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세민 기자 semim99@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