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셔터스톡)
(사진=셔터스톡)

미국 해군이 정부 기관 중 최초로 딥시크 사용 금지 조치를 내렸다. 또 호주는 국민들에게 딥시크 사용 주의령을 내렸다. 유럽연합(EU)도 딥시크 조사에 착수할 뜻을 밝히는 등 각국 정부가 본격적인 딥시크 견제에 나섰다.

CNBC는 28일(현지시간) 미국 해군이 내부 이메일을 통해 딥시크의 인공지능(AI) 기술을 사용하지 말라는 지시를 내렸다고 보도했다.

지난 주말 해군 전원에게 전달된 메모에는 "딥시크의 모델은 모델의 출처와 사용과 관련된 잠재적인 보안 및 윤리적 우려로 인해 사용해서는 안 된다"라고 적혀 있다. 특히 ”업무나 개인적인 용도 어떤 방식으로든 딥시크 모델을 다운로드, 설치,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는 딥시크의 서비스 약관에 "고객으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는 중화인민공화국에 위치한 안전한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라고 명시됐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호주 정부는 전날 전체 국민을 대상으로 경고령을 내렸다. 짐 찰스머 호주 재무부 장관은 "우리는 호주 국민들에게 이 새로운 기술에 대해 조심할 것을 촉구하고 싶다"라고 밝혔다.

이는 국가 차원에서 딥시크 사용을 경고한 첫 사례다.

EU도 규제 기관이 움직이기 시작했다. 유럽 소비자 단체 연합 유로컨슈머는 딥시크의 개인 데이터 처리가 EU의 규정인 GDPR를 위반한다며 이탈리아의 데이터 보호 기관에 불만을 제기했다.

이에 따라 이탈리아 DPA는 딥시크에 어떤 개인 데이터를 수집하는지, 어떤 목적으로 수집하는지와 법적 근거가 무엇인지 밝히라고 요청했다. 또 중국에 있는 서버에 대한 자세한 정보도 공개할 것을 요구했다. 딥시크는 20일 내로 답변을 보내야 한다.

특히 이번 정보 요청은 EU의 규제 기관이 이 문제에 대한 본격 조사에 착수한다는 것을 시사한다는 평이다. 또 이탈리아는 지난 2023년 오픈AI의 '챗GPT'에 대해서도 같은 문제로 세계 최초의 사용 금지 조치를 취한 것으로 유명하다. 지난해 말에도 개인 정보 처리 문제로 오픈AI에 1500만유로(약 226억원)의 벌금을 부과했다.

영국 정부도 딥시크를 분석 중이라고 밝혔다.

딥시크가 화제를 일으킨 다음 날 키어 스타머 총리의 대변인 데이브 파레스는 "우리는 항상 새로운 앱의 등장을 모니터링하고 국가 안보를 보호하는 접근 방식을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정부 기기에 앱 다운로드 기능이 제한됐다고 밝혀, 사실상 정부에서는 아직 앱을 사용하지 못한다는 것을 암시했다.

또 "딥시크 기술이 안전한지에 대해 과학, 혁신 및 기술부가 조사 중"이라며 "모든 회사는 법률을 준수하지 않으면 조치에 취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미국 백악관도 딥시크에 대한 보안 위협을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여기에는 사용자 데이터를 중국 서버에 저장하는 것은 물론, 중국 정부의 검열을 받은 챗봇이 사회주의 사상을 출력한다는 문제 등이 포함돼 있다.

이처럼 딥시크 데이터 문제는 더 많은 국가로 확산할 조짐이다.

박찬 기자 cpark@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