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목포대학교(총장 송하철)는 18일(화) 전라남도(도지사 김영록)와 공동으로 '제2회 전남 글로벌 혁신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목포대 70주년기념관에서 열렸으며, 지역 주요 인사 및 기관 관계자 200여 명이 참석해 성황을 이뤘다.
포럼에서 송하철 총장은 "전라남도와 지역사회, 산업계, 공공기관의 전폭적인 지원 덕분에 국립목포대가 '글로컬대학30' 사업에 선정될 수 있었다"며 감사를 표했다.
이어 "국립목포대를 '그린해양에너지 글로벌 명문대학'으로 성장시켜, 청년들이 지역에서 꿈을 이루고 행복한 미래를 만들어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전남 주력산업과 연계한 혁신 전략…청년 창업·문화예술 캠퍼스 조성
국립목포대는 글로컬대학 사업을 통해 세 가지 핵심 목표를 추진한다.
▲ 전남 주력산업의 미래산업화 지원
▸친환경 무탄소 선박 및 해양에너지 산업 특화
▸글로벌 그린해양에너지 명문대학으로 도약
▲ 전남도립대와 통합해 2·4년제 교육과정 운영
▸국립대 최초로 기능인력과 기술인력 양성 체계 구축
▲ 지역 소멸위기 극복을 위한 다캠퍼스 체제 운영
▸5개 시·군 7개 캠퍼스를 청년 창업·문화예술 허브로 육성
또한, 목포대는 연간 80억원의 장학금을 지역카드로 지급해 지역 상권을 활성화하고, 지방비·국비·도비를 연계 투자해 산업 및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2028년까지 지역경제 파급효과는 약 1조 2천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전남글로벌혁신포럼은 2024년 7월 2일 발족했으며, 국립목포대 송하철 총장과 전라남도 김영록 지사가 공동대표를 맡고 있다.
포럼은 지역 대학, 지자체, 공공기관, 산업계가 협력하여 글로컬대학 사업 추진 및 지역 혁신 성과 확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포럼을 통해 국립목포대는 전남의 미래산업과 연계한 글로벌 대학으로 도약할 발판을 마련하며, 지역과 함께 성장하는 대학 모델을 제시했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 AI부터 보안 이슈까지…목포시, 생성형 인공지능 교육
- 순천 출신 이성우 배우, 대한민국예술문화대상 신인상 수상
- [기획] 학령인구 급감 직면한 전남 초중등학교, 해법은?
- [기획] 광양, AI와 첨단산업으로 미래를 선점하라
- 전남도 벼농사 감축 vs 도의원 반발, 누구의 주장이 더 현실적일까?
- 2026 여수세계섬박람회, 지방시대위원회와 협력 강화
- 전남동부권 정책협의, 김영록 지사 대책과 현실적 한계
- 전남도, 미래 100년 이끌 핵심 SOC 국가계획 반영 총력
- 국립순천대, 2025년도 중등교사 임용시험 최종 합격자 90명 배출
- 전남 국립의대 신설, 국회에서 길을 찾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