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는 올해 총 100개 이상의 산업 에너지 분야 인공지능(AI) 활용 기술개발 과제를 지원한다고 9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10월 산업부 장관 주재 민관합동 산업 디지털전환위원회에서 발표한 ‘AI+R&DI 추진 전략’의 후속조치다.
산업부는 두차례에 걸쳐 6주간 통합 수요 조사를 실시, 로봇과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13개 산업 분야에서 881건에 달하는 AI 활용 기술 개발 수요를 접수했다. 현재까지 수요 과제 74개를 1차 공고했으며, 상반기 내 2차로 30개 이상의 수요 과제를 추가 공고할 예정이다.
특히 내년 신규사업 예산을 확보해 산업 기술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연구용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을 지원한다. 산업부는 AI 활용 기술 개발 수요가 높은 전략 분야를 선별하고 연구용 AI 파운데이션 모델별로 신규 사업을 기획해 추진할 계획이다.
또 다음달부터는 ‘테크GPT’의 베타 테스트가 시작된다. 이는 국내외 기업 기술 인재를 AI로 탐색하고 연결하는 서비스다. 이를 통해 수집된 의견을 반영해 10월 기술 정보 무료 분석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 여기에 활용하는 모델은 국내를 포함, 미국과 중국, 일본, 유럽연합(EU) 등에 등록된 1억1000만건의 특허와 최근 발표된 2억2000만건의 국내외 논문을 학습한다.
AI와 로봇 공학을 활용해 자동으로 실험을 수행하는 기업 공통활용 실험실도 연내 도입한다. 산업부는 AI 자율실험실을 산업혁신 기반 구축 로드맵에 반영하고 내년부터 자율실험실을 체계적으로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오승철 산업기반실장은 “이제는 AI가 혁신의 속도를 좌우하는 핵심 요소”라며 “정부는 AI를 활용한 기술혁신이 산업 전반에 빠르게 확산될 수 있도록 과감한 투자와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했다.
박수빈 기자 sbin08@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