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연합(EU)이 인공지능(AI) 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을 발표했다. 특히, 기술 발전을 저해한다는 지적을 받은 복잡한 규정문제를 해결한다고 밝혔다.
EU 위원회는 9일(현지시간) 유럽의 산업과 인재 풀을 AI로 전환하기 위한 'AI 대륙 행동 계획(AI Continent Action Plan)'을 발표했다.
여기에는 200억유로(약 32조원)를 투입, 세계 최고 수준의 슈퍼컴퓨팅 네트워크를 갖춘 최소 13개의 'AI 팩토리'와 최대 5개의 'AI 기가팩토리'를 건설한다는 내용과 스타트업이 고품질 학습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연구소'를 구축한다는 것이 포함됐다.
또 현재 EU 기업의 13.5%만이 AI를 활용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산업과 공공, 의료 등 분야에서 AI 활용을 극대화하는 'AI 적용 전략'을 시작할 예정이다. 증가하는 AI 인재 수요를 맞추기 위해 숙련된 비EU 근로자의 이주를 지원하고, AI 교육과 재교육 등을 강화하는 안도 담겼다.
그러나 이런 안은 이미 기존 이니셔티브나 국가별로 추진 중인 내용과 겹치는 것으로, 가장 중요하게 꼽히는 것은 마지막으로 밝힌 'AI 법 시행 간소화'다.
구체적으로 내세운 것은 정보와 지침을 원하는 기업들의 주요 연락 창구 역할을 할 'AI 법률 서비스 데스크'의 신설이다. 이 조직은 각국의 AI 기업들이 신설되는 AI 규제법 시행 적응을 돕기 위한 것이다.
이에 앞서 헨나 비르쿠넨 유럽위원회 디지털 책임자는 지난달 디지털 기업에 적용되는 '디지털 시장법(DMA)'과 디지털 서비스법(DSA)', AI 법 등을 손보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는 미국 빅테크는 물론 유럽 내부에서도 각종 규제로 인해 산업 발전이 어렵다는 지적이 잇따른 데 따른 것이다. 미국 정부의 압박도 만만치 않다.
로펌 오스본 클라크의 존 바이어스 글로벌 AI 책임자는 CNBC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발표는 규제 부담을 완화하고 혁신에 대한 장벽을 제거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는데, 이는 부분적으로 미국 정부가 제기한 우려 중 일부를 반영할 가능성이 높다”라고 말했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