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셔터스톡)
(사진=셔터스톡)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정책에 실망을 느낀 인공지능(AI) 전문가 등 일부 과학자들이 미국을 떠나려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자 기다렸다는 듯이 프랑스와 독일이 해외 인재 유치에 나섰다.

비즈니스 인사이더는 21일(현지시간)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이 기술계의 비난을 받고 있으며, 이로 인해 프랑스가 인재 관련 이니셔티브를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1월에 출범 이후 이민 통제를 강화하고, 미 항공우주국(NASA)이나 해양대기청(NOAA) 등의 정부 보조금과 인력 감축을 시작했다. 다양성 정책(DEI)을 펼치거나 팔레스타인 지지 시위를 벌이는 대학교도 표적이 됐다.

컬럼비아대학교는 지난 3월 행정부가 4억달러의 자금 지원을 보류하겠다고 위협하자 시위 관련 정책을 강화하고, 중동과 남아시아, 아프리카학과에 대한 감독을 보강하겠다고 타협했다.

이번 주에는 하버드대학교가 비슷한 요구를 거부하자, 20억달러의 자금 지원을 동결했다. 요구 중에는 하버드대가 이민 관리 당국과 협력하도록 강제하는 입학 절차 변경도 포함됐다.

이러자 미국 내에서는 비판의 목소리가 쏟아졌다. 특히 얀 르쿤 메타 수석과학자는 지난달 링크트인을 통해 "미국은 공공 연구 기금 시스템을 파괴하려는 듯하다. 많은 미국 과학자가 플랜 B를 모색하고 있다"라는 글을 올렸다.

에릭 슈미트 전 구글 CEO도 AI+생명공학 정상회의 연설 중 "행정부가 미국의 모든 과학에 대한 전면적인 공격을 시작했다"라며 이로 인해 미국이 AI 주도권을 잃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구글 직원 중 일부는 "이런 환경에서 일하고 싶지 않아서 런던으로 돌아갈 계획으로 알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이에 발맞춰 프랑스는 지난주 '과학을 위해 프랑스를 선택하세요'라는 이름의 이니셔티브를 발표했다. 이는 대학과 연구 기관에 정부 자금 지원을 확대해 외국 과학자들을 더 많이 유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프랑스 국립연구원은 "국제적 상황에 따라 전 세계 연구자들이 전례 없는 이동의 물결을 맞이하는 상황이 조성됨에 따라, 프랑스는 유럽에서 연구를 계속하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한 국가로 자리매김하고 프랑스의 연구 생태계와 인프라를 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도 링크드인을 통해 "연구가 우선순위"라며 "전 세계 연구자들은 프랑스로 오라"라고 밝혔다. 프랑스 출신인 르쿤 수석은 이를 "현명한 움직임"이라고 평했다.

독일도 합세했다. 라르스 클링바일 독일 사회민주당 공동대표는 현지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행정부에서 안심하지 못하는 과학자들을 데려오기 위해 공격적으로 나설 것"이라며 "5000억유로(약 814조원)를 과학 연구 분야에 투자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