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기술혁신부문 오승필 부사장이 고려대와의 공동 연구 성과에 대해 총평 하는 모습 (사진=KT)
KT 기술혁신부문 오승필 부사장이 고려대와의 공동 연구 성과에 대해 총평 하는 모습 (사진=KT)

KT(대표 김영섭)와 고려대학교(총장 김동원)는 고려대학교 백주년기념삼성관에서 AICT 분야 공동 연구의 성과를 공유하고 사업화를 위한 워크숍을 열었다고 17일 밝혔다.

이날 행사는 KT와 고려대가 2024년 7월 체결한 ‘AICT 공동연구센터’ 설립 협약을 기반으로 마련됐다. 이를 통해 한국적 AI, AI 모델, 에이전틱 AI, 도메인특화 소형모델(sLM), 데이터, 비용효율적 AI, 클라우드, 보안 등 15개 과제를 수행했다. 

특히 KT가 자체 개발한 믿:음 2.0에 적용된 ▲'한국형 sLM/LLM 평가지표 연구 및 벤치마크셋 개발’과 KT 법률 특화 모델에 적용된 ▲‘한국형 버티컬 sLM 기술 개발’, KT 사내 검색 포털에 적용된 ▲‘KT 고객서비스 앱 사용성 연구 및 AI UX 개선’ 과제를 비롯해 KT SPC(Secure Public Cloud)에 적용된 ▲‘합리적인 소버린 클라우드 정책 구현 방안 연구’ 4가지 과제는 사업 적용 단계로 KT의 B2B 및 B2C 서비스 고도화에 지속 활용된다.

이번 공동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믿:음 2.0의 고도화할 예정이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추진중인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에도 활용할 계획이다. 

KT 기술혁신부문장 오승필 부사장은 “이번 KT-고려대 워크숍은 AICT 분야 공동 연구의 성과를 확인하고 미래 협력 방향을 구체화하는 뜻깊은 자리였다”며, “KT는 앞으로도 기업과 대학이 함께 성장하는 AI 생태계 조성에 적극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

박수빈 기자 sbin08@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