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가 출시한 '챗GPT 에이전트'가 엑셀이나 파워포인트 앱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아예 새로운 관련 코드를 생성하는 방식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기존 마이크로소프트(MS) 오피스 앱의 의존도를 완전히 없애는 것은 물론, 더 효율적으로 문서 생성을 가능하게 만든다는 설명이다.
디 인포메이션은 17일(현지시간) 전문가들을 인용, 챗GPT 에이전트의 작동 방식이 단순히 기존 앱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르면, 파워포인트나 엑셀 파일을 열고 클릭해서 텍스트와 수식을 삽입하는 GUI 에이전트를 활용하는 대신, 오픈AI 에이전트는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스프레드시트나 프레젠테이션을 생성하는 코드를 작성한다.
이처럼 대형언어모델(LLM)의 코딩 기능을 활용하면, 에이전트가 파워포인트나 엑셀 문서 이곳저곳을 클릭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속도 저하나 오류를 피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리소스 사용량이 줄어드는 장점이 생긴다. PPT나 엑셀을 직접 편집하려면 '가상 머신'을 실행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필요한 컴퓨팅 리소스가 코드를 작성하는 것보다 더 많다는 설명이다.
나아가, 이렇게 생성된 코드는 다시 모델의 학습에 활용, 성능 향상을 위한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생긴다.
이처럼 챗GPT 에이전트는 기존 '오퍼레이터'처럼 단순히 사람 대신 마우스와 키보드를 활용하는 GUI 에이전트 차원을 뛰어넘은 새로운 개념의 에이전트라는 설명이다.
이런 변화는 오픈AI의 코딩 AI 역량 강화에 도움이 될뿐더러, 기업의 프리젠테이션이나 스프레드시트 제작을 돕는 다른 스타트업을 위협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이른바, '스타트업 멸망의 날'이 올 수도 있다는 것이다.
물론, 아직 그렇게 단정하는 것은 이른 것으로 봤다. 일반적으로 토미(Tome)와 같은 AI 프리젠테이션이나 스프레드시트 스타트업은 기업마다 다른 업무 방식이나 양식 때문에 꽤 어려움을 겪어 왔다. 그리고 이 때문에 지난해에는 금융 서비스 분야의 로고(Rogo)처럼 이 분야만을 전문으로 처리하는 스타트업이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이런 스타트업들은 이미 특정 산업 분야 특화 데이터를 다수 보유한 경우가 많으며, 도메인별로 어떤 결과물을 생성해야 하는지에 대한 노하우를 보유했을 가능성이 높다.
여기에 아직 초기 단계인 챗GPT 에이전트는 기술적으로도 완전하지 않으며 아직 관련 데이터를 축적하지 못했기 때문에, 당분간은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타트업들에 기회가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물론 챗GPT 에이전트가 스타트업뿐만 아니라 오피스와 워크스페이스에 AI를 탑재한 마이크로소프트와 구글에 큰 위협이 된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오픈AI는 코드 생성뿐만이 아니라, 딥 리서치를 통해 고급 분석 기능을 더했으며 ,지메일이나 구글 드라이브 등 외부 데이터를 읽어낼 수 있는 '커넥터' 기능도 추가했다. 앞으로도 기업 생산성 향상을 위한 기능이 추가될 것은 뻔한 일이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 오픈AI, 엑셀·PPT 만드는 '챗GPT 에이전트' 출시...기업 시장 도전
- 오픈AI, MS 앱 없어도 엑셀·파워포인트 만드는 '챗GPT' 기능 개발
- 오픈AI, 기업 맞춤형 모델 사업 본격화...B2B 대폭 강화
- 오픈AI, '업무용' AI 도구 대거 출시...MS·구글과 에이전트 경쟁 불가피
- 오픈AI "챗GPT 에이전트 도입으로 역대 최강 보안 체계 구축"
- 챗GPT 에이전트, 캡차 인증 가볍게 통과...'나는 로봇이 아닙니다'
- AI 인재 전쟁 속 ‘최강 수요 직종’은 여전히 MS 엑셀 전문가
- MS, 오픈AI 의존 벗어나 '코파일럿'에 앤트로픽 모델 도입
- 앤트로픽도 '클로드'에 엑셀·PPT 직접 생성하는 기능 추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