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오픈AI, 구글, 앤트로픽을 공공기관과 공식 계약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벤더 목록에 추가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AI 활용을 국가 경쟁력의 핵심으로 삼고, 연방기관의 AI 도입을 전방위적으로 확대하려는 전략의 하나다.
로이터는 5일(현지시간) 미국 총무청(GSA)이 오픈AI, 구글, 앤트로픽 등의 대형언어모델(LLM)을 연방정부 구매 목록에 포함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라 미 연방기관들은 별도의 개별 계약 없이도 신속하게 이들 AI 도구를 활용할 수 있게 됐다.
이번 결정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7월23일 발표한 AI 행동 계획에 따른 것이다. 새 정책은 기존 환경 규제를 완화하고, ‘이념적 편향 없는 언어모델’만을 연방기관이 사용하도록 명시했다.
연방조달청은 "진실성, 정확성, 투명성, 정치적 중립성을 우선한 AI 모델을 기준으로 평가했다"라고 설명하며, 이번 조치가 특정 기업을 우대하려는 것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스티븐 에히키언 GSA 부국장은 “다양한 목적에 맞는 다양한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라며 “생산성 향상을 위한 수단일 뿐”이라고 말했다.
이번 조치로 인해 그동안 시범 사업이나 국방 분야에 제한적으로 활용되던 생성 AI 도구들이 일반 행정업무 전반에 활용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국세청(IRS)의 세금 사기 탐지, 특허청의 신청서 심사, 인사관리처(OPM)의 민원 요약 자동화, 보도자료 교정 등 다양한 업무에 AI가 투입될 전망이다.
특히, 스콧 쿠퍼 인사관리처 국장은 “고객 응대 챗봇 구축이나 수만건의 공공 의견 요약 등에 AI를 적극 활용할 것”이라며 “이를 위해 AI 기술에 정통한 인재 채용도 병행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GSA는 앞으로도 다양한 기업의 AI 솔루션을 평가해 목록에 추가할 방침이다.
한편, 오픈AI와 구글, 앤트로픽, xAI 등은 이번 발표와는 별개로 이미 국방부와 별도 AI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박찬 기자 cpark@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