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서남권을 연결하는 목포~보성 남해안 철도가 착공 23년 만에 드디어 개통을 앞두고 있다. 이 노선은 단순한 교통편 개선을 넘어 관광 활성화와 지역 경제 성장의 기폭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에 개통되는 구간은 목포시 옥암동 임성리에서 출발해 영암, 해남, 강진, 장흥, 장동, 보성까지 이어지는 총연장 82.5㎞ 구간이다.
1조 6,400억 원이 투입됐으며, 여객과 화물을 동시에 수송할 수 있는 단선 전철화 노선이다. 7개 역사 중 임성리역을 제외한 6개 역은 새로 건립됐다.
목포~보성 철도는 지난 2000년 정부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고, 2003년 기본계획과 설계를 마쳤으나 예산 중단과 감사원의 재검토 등으로 사업이 지연됐다. 이후 전남도의 적극적인 추진으로 23년 만에 열차 운행이 가능하게 됐다.
현재 영업 시운전을 마무리하고 있으며, 이르면 9월 27일부터 정식 운행에 들어간다.
기존에는 목포에서 보성까지 가려면 광주를 경유해야 해 2시간 16분이 소요됐지만, 앞으로는 1시간 3분이면 이동이 가능하다.
철도 개통은 수십 년간 철도에서 소외됐던 전남 서부·중부권 주민들의 교통 접근성을 크게 높일 전망이다.
또, 순천~신보성 구간이 2030년까지 완공되면 목포에서 부산까지 2시간대 주행도 가능해져 영호남 교류와 남해안 관광 산업이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보인다.
지역 관광·경제 효과 기대
열차가 정차하는 지역 사회는 벌써부터 기대에 차 있다. 해남군은 계곡면에 새 역사가 들어서면서 관광 활성화를 본격화하고 있다.
한국철도공사(코레일)와 협약을 체결해 9월 말부터 철도 관광객을 대상으로 운임 50% 할인, 관광지 입장료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QR 인증을 통한 추가 할인 쿠폰도 발급해 철도 관광 상품을 유도할 계획이다.
보성군은 이번 개통으로 신보성역과 기존 보성역, 두 개의 철도역을 갖게 됐다. 도심 내외부로 유동 인구가 확대되면서 균형 발전의 기회를 마련하게 된다.
또한, 경전선 전철화와 연계해 지역 개발 방안을 새롭게 마련 중이다.
김철우 보성군수는 "보성이 전남 중부권 발전의 거점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철도 인프라에 맞는 발전 전략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전남도는 개통 초기 열차 수요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하면서도, 국토교통부와 협의해 무궁화호와 고속열차를 하루 2회 이상 운행할 방침이다.
또한 목포역에 도착한 관광객들이 곧바로 인근 지역을 여행할 수 있도록 셔틀버스 연계 운영 등 활성화 전략도 준비하고 있다.
목포~보성 철도 개통은 단순히 교통망 확충이 아니라, 지역 균형 발전과 관광·경제 활성화를 이끌 핵심 인프라로서 큰 의미를 가진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