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전력망 확충에 속도를 낸다.
전력망 부족으로 전기를 생산해도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재생에너지 437MW(메가와트) 용량은 올해 안에 접속지연 문제를 해소하고 잔여 대기물량 역시 순차적으로 해소한다는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9일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2025년 제2차 전력계통혁신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국가기술표준원, 한국전력공사, 전력거래소, 전기안전공사 등 관계기관과 민간 전문가들이 참여해 재생에너지 수용력 확대 방안 등을 모색했다.
최근 태양광 등 소규모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들이 늘면서 전력생산이 증가했으나 부족한 전력망으로 인해 전력망에 접속하지 못하고 대기 중인 전력량이 상당하다.
이에 전력당국은 접속 대기 중인 사업자의 현황을 지역별·시기별로 분석하고 접속지연 맞춤 해소 대책을 입체적으로 시행할 계획이다.
전력망 구축 인허가 지연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와 한전이 공동으로 인허가 기관들과 소통할 예정이다. 설비증설을 위한 자재 조기 확보와 변전소 입지 조기 확정도 추진한다.
이를 통해 전북, 광주·전남, 대구·경북 등에서 생산된 437MW의 시급한 접속 대기 물량이 올해 안에 해소될 것으로 전력당국은 기대하고 있다. 나머지 접속 대기 물량 역시 단계적으로 해소한다는 방침이다.
안정적인 재생에너지 전력공급을 위해 인버터의 지속운전성능도 강화한다. 국표원, 한전, 전력거래소 등이 함께 올해 안에 성능 규정을 개정할 계획이다. 신규 설비 및 기설 설비의 성능구비를 위해 제도적, 재정적 지원 방안도 마련한다.
계통 운영의 정확도도 개선한다. 전력당국은 송·배전망의 정밀한 관제운영을 위해 지난해부터 전력거래소, 한전, 전기안전공사의 전력정보 연계를 추진하고 있다.
배전망 제어 정보의 고도화로 발전량 실측 정보의 활용도를 높이고 발전량 추정 정보의 정확도를 개선한다는 계획이다.
전력 설비에 대한 지역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한전은 전력 설비 전자파 발생 측정량과 발생 영향 등 상세 정보를 올해 안에 홈페이지에 투명하게 공개할 예정이다. 전자파에 대한 우려를 완화하기 위해서다.
최연우 산업부 전력정책관은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해서는 전력망 안정성 확보가 필수적"이라며 "계통 운영 및 관리자들의 통합 대응력 강화와 사업자들의 책임성 확대를 합리적으로 병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