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KENTECH·켄텍)가 국가 에너지 전환의 구심점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KENTECH·켄텍)는 28일 부산 벡스코 컨벤션홀에서 켄텍 에너지정책연구소(KEPI- KENTECH Energy Policy Institute) 창립 기념 포럼을 개최했다. (사진=켄텍 제공)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KENTECH·켄텍)는 28일 부산 벡스코 컨벤션홀에서 켄텍 에너지정책연구소(KEPI- KENTECH Energy Policy Institute) 창립 기념 포럼을 개최했다. (사진=켄텍 제공)

28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에너지정책연구소(KEPI) 창립 포럼에서 켄텍은 AI 정책 모델링·K-그리드·인재 양성이라는 삼각축 전략을 제시하며 새로운 비전을 드러냈다. 

이번 행사는 산업통상자원부, IEA, 세계은행이 공동 주최한 2025 기후산업국제박람회(WCE) 연계 프로그램으로, "Energy for AI & AI for Energy"라는 시대적 화두와 맞닿았다.

박진호 총장직무대행은 개회사에서 "정책·기술·인재를 연결하는 통합 플랫폼으로 켄텍이 앞장서겠다"고 강조했다. 

기조연설에 나선 이종영 전기위원회 위원장은 탄소중립과 전력망 확충을 국가적 사명으로 지목했고, 알리 이자디 블룸버그NEF 아태 디렉터는 “AI와 에너지 융합이 산업의 구조를 바꿀 것”이라 전망했다.

이어진 발표에서는 구체적 전략이 제시됐다.

김승완 교수는 AI 기반 분산형 K-그리드테크를 국가 전략으로 제안했고, 김집 교수는 데이터 기반 정책 모델링의 중요성을 역설했으며, 이효섭 부사장은 에너지 AI 융합기술의 산업 적용 가능성을 소개했다.

국가 전략의 과제와 길

패널 토론에서는 정부와 학계, 산업계가 모여 탄소중립·에너지 안보·디지털 전력망을 논의했다.

이원용 산업부 에너지MD는 "실증에서 상용화까지 이어지는 전주기 체계"를 강조했고, 손정락 KAIST 교수는 "데이터와 과학 기반 정책으로 신뢰성을 높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강민석 한전 경영연구원장은 "켄텍의 전략은 에너지 안보와 탄소중립의 이중 과제를 풀어낼 해법"이라 평가했다.

문승일 에너지정책연구소장은 "중앙집중식 화석연료 시대를 넘어, 분산형 재생에너지 체계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며 "연구소가 국가 에너지 전략 플랫폼이 될 것"이라 선언했다

지난 5월 출범한 KEPI는 이미 정부의 차세대 전력망 로드맵에서 핵심 파트너로 참여 중이다. 디지털 전력망, AI 수요예측, 그리드테크·에너지저장 융합 분야에서 그 역할이 커지고 있다.

"세계 유일의 에너지 특화대학"을 내세우는 켄텍은 이번 포럼을 통해 단순한 학문 연구를 넘어, 국가 에너지 전환을 설계하는 실질적 정책 허브로 입지를 굳혔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