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가 내년도 예산을 13조 8,778억 원으로 확정했다. 이는 올해 본예산(11조 4,336억 원)보다 2조 4,443억 원(21.4% 증가) 늘어난 규모로, 역대 최대치다.
산업부는 이번 예산을 통해 ▲산업 전반의 AI 전환(AX) 확산 ▲첨단·주력 산업 경쟁력 강화 ▲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 전환 ▲공급망·통상 대응 ▲지역 균형 성장이라는 6대 핵심 과제를 본격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제조업과 인공지능의 융합 투자 확대다. 산업부는 내년 관련 예산을 1조 1,347억 원으로 편성했다. 이는 이재명 대통령이 강조해 온 '산업 AI 대전환' 구상과 맞닿아 있다.
세부적으로는 제조업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업종별 특화형 제조 AI 개발, 공급망 전반 확산에 주력한다. 또한, 제조·물류·건설 현장에 투입할 피지컬 AI(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예산을 4,022억 원으로 대폭 확대했다.
이를 통해 핵심 부품과 소프트웨어를 내재화하고, 세계적 수준의 휴머노이드 기술 확보에 속도를 내겠다는 구상이다.
아울러 자동차, 가전, 로봇, 드론 등 스마트 제품에 AI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온디바이스 AI 반도체’ 개발을 본격화한다.
반도체 분야에서는 국산 소부장 장비를 조기 상용화하기 위한 '미니팹 기반 구축사업'에 2026년까지 1,157억 원을 투입해 산업 경쟁력 강화를 뒷받침한다.
한-미 조선 협력 본격화…'마스가 프로젝트' 지원
조선업은 미국과의 협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새 예산이 편성됐다. 산업부는 미국 조선업계와 공동으로 추진하는 ‘마스가 프로젝트’를 포함해 한-미 협력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다각적인 지원에 나선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한-미 조선해양산업기술협력센터 운영: 66억 원 ▲중소조선 함정 MRO 경쟁력 강화 지원: 50억 원 ▲중소조선·기자재 미국 진출 지원: 77억 원이다.
또한, 북극항로 쇄빙선 기술 개발, AI 기반 자율운항선박, 스마트 블록 생산 시스템 등 차세대 기술개발에 1,786억 원을 투입해 미래형 조선 산업으로의 전환을 앞당길 계획이다.
재생에너지·SMR 등 에너지 대전환 가속
에너지 분야 예산은 1조 2,703억 원으로, 올해 대비 3,730억 원(42% 증가) 확대됐다. 이는 정부가 추진하는 에너지 안보와 탈탄소 전환을 동시에 강화하기 위한 조치다.
▲재생에너지 금융·보급 지원: 총 8,501억 원. 특히 금융지원사업은 6,480억 원으로 역대 최대 규모 ▲AI 기반 차세대 전력망 구축: 분산전력망 1,196억 원,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원 100억 원 ▲원전: 지난해 대비 6.2% 늘어난 5,194억 원, 차세대 원전 SMR(소형모듈원전) 산업 집중 육성 방침을 세웟다.
산업부는 재생에너지 보급과 안정적 전력망 확충을 동시에 추진하며, 산업 거점과 에너지 고속도로를 연결하는 차세대 전력 인프라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통상·수출 대응 예산 1.7조…"트럼프발 보호무역 선제 대응"
미국발 보호무역주의 심화에 대비해 통상·수출 대응 예산은 1조 7,353억 원으로 책정됐다. 이는 올해보다 7,013억 원(67.8% 증가) 확대된 규모다.
▲무역보험기금 출연: 6,005억 원, 대형 프로젝트 수출 전폭 지원 ▲긴급지원 바우처 신설: 424억 원, 미국 관세 여파로 어려움 겪는 중소·중견기업 지원 (피해 분석, 물류비, 생산거점 이전 등)할 방침이다.
산업부는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통상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우리 기업들의 해외시장 진출을 적극 뒷받침할 것"이라고 밝혔다.
공급망·소부장 안정화…2조원 집중 투자
첨단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산업의 자립과 공급망 안정성 확보를 위해 1조 9,993억 원이 배정됐다.
▲중소·중견기업 신규 투자 보조금 지원 ▲경제안보 품목 국내 생산 확대 ▲핵심 광물 재자원화 및 수입 다변화 추진이 해당된다.
산업부는 이를 통해 대외 리스크에 흔들리지 않는 안정적 산업 기반을 구축하겠다고 강조했다. ▲지역 균형 성장 지원 강화와 ▲지역 주도의 투자와 산업 생태계 혁신을 위해 8,835억 원을 편성했다(올해 7,563억 원 대비 확대).
▲지방투자 촉진 보조금 확대, 수도권 기업 지방 이전 지원 ▲저발전 지역 지원 한도·대상 확대 ▲지역 주도의 R&D와 산업단지 환경 개선 지원이 해당한다.
산업부 관계자는 "내년도 예산은 AI와 첨단산업으로의 전환, 에너지 안보와 탈탄소 병행, 통상·공급망 리스크 대응, 지역균형 성장을 동시에 달성하기 위한 종합적 투자"라며 "국가산업의 체질을 근본적으로 강화하고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양준석 r기자 kailas21@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