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루솔라 영농형태양광 (사진=파루)
파루솔라 영농형태양광 (사진=파루)

전남은 전국 최대의 재생에너지 잠재력을 갖춘 지역이다. 풍부한 일조량과 광활한 해상·육상 입지를 두루 갖춘 '에너지 보고(寶庫)'다. 

이재명 정부가 내세운 '재생에너지 중심 에너지 정책 대전환'의 핵심 무대 역시 전남이 될 수 있다. 

그러나 현장은 기대만큼 밝지 않다. 정부의 국정과제에 해상풍력·영농형 태양광·RE100 산단 등 전남 현안이 대거 반영됐음에도, 정작 전남도 차원의 실행 로드맵은 미흡하다는 지적이 잇따른다.

서남권 간척지 태양광, 신안 해상풍력, 해남 솔라시도 AI 클러스터 등 굵직한 프로젝트가 추진되고 있지만, 민원·계통 연계 지연·투자유치 난항 등으로 곳곳에서 제동이 걸리고 있다. 

발전허가를 받아놓고도 행정 절차와 주민 갈등에 막혀 사업 자체가 무산되는 사례는 전남의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심각한 문제다. 

"허가만 있고 실체는 없는 속빈 강정"이라는 비판이 괜히 나온 것이 아니다. 정부가 정책 방향성을 선명히 제시한 만큼, 지자체는 세부 실행 전략으로 이를 뒷받침해야 한다. 

그러나 전남도는 이해관계 조정이나 갈등관리, 산업 연계 전략에서 주도적 역할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이는 단순히 사업 지연 차원을 넘어 글로벌 투자자 신뢰 상실, 지역 기업 경쟁력 약화, 에너지 허브 도약 기회 상실로 직결될 수 있다.

전남형 에너지 거버넌스 구축해야

첫째, 갈등관리 플랫폼 마련이 필요하다. 주민 참여형 '햇빛·바람 연금' 같은 제도를 제도화하고, 사업 초기 단계부터 주민 설명회·이익 공유 방안을 투명하게 설계해야 한다.

둘째, 전력계통·인프라 선제적 확충이다. 한전·정부와 협업해 대규모 발전단지 계통연계를 위한 '에너지고속도로'를 신속히 구축해야 한다.

셋째, 산업·고용 연계 로드맵을 세워야 한다. 단순 발전사업을 넘어 부품 제조, 유지보수, 데이터센터, AI 클러스터와 연계한 일자리 창출 전략이 필요하다.

넷째, 투자 친화적 행정이다. 글로벌 자본 유치를 위한 원스톱 행정 지원, 규제 해소 TF 운영 등도 시급하다.

전남이 지금의 기회를 놓친다면 재생에너지 전환의 주역이 아니라 '정책 수혜지'조차 되지 못할 수 있다. 

전남도는 '에너지 허브 전남'이 구호에 머물지 않도록, 실질적·선제적 로드맵을 제시해야 한다. 에너지 대전환의 주도권을 잡을지, 아니면 변방으로 남을지는 지금의 선택에 달려 있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