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와 인구 감소로 농촌이 활력을 잃어가고 있는 가운데, 농업과 에너지를 결합한 영농형 태양광이 농촌 재생의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태양광 패널을 설치해 전력을 생산하면서 동시에 그 아래에서 작물을 재배하는 방식은, 농업 기반을 지키면서도 에너지 자립과 농가 소득 증대를 동시에 이끌어낼 수 있는 실험으로 평가된다.
영농형 태양광은 단순한 발전사업이 아니라 농업을 지키면서 추가적인 소득을 창출할 수 있는 이중 구조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특히 농업소득이 낮아 경영에 어려움을 겪는 농가들에게 안정적인 보완책이 될 수 있으며, 청년농 유입과 버려지는 농지 활용에도 긍정적 역할을 할 수 있다.
정재학 영남대 교수의 분석에 따르면, 루프톱형 100㎾급 영농형 태양광은 20년간 월평균 약 145만 원의 추가 소득을 기대할 수 있다. 이는 농민들에게 현실적인 희망이 되는 수치다.
영농형 태양광은 단순히 소득을 늘리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 지역 공동체와 청년농 정책을 연계할 수 있는 촉매제가 될 수 있다.
농작물 소득만으로는 정착이 어려운 청년농에게, 태양광 수익은 작은 규모의 농지에서도 안정적인 생활 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돌파구가 된다.
일본과 프랑스처럼 농업고등학교 단계부터 영농형 태양광을 교육 과정에 포함하는 사례를 참고해, 한국도 청년농 육성과 접목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제도적 과제와 개선 방향
물론 해결해야 할 과제도 존재한다. 농지 훼손 우려, 주민 갈등, 복잡한 행정 절차, 초기 설치비 부담 등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이는 제도 개선과 지원 확대를 통해 극복 가능한 문제다.
전문가들은 ▲보조금 확대 ▲설치 기준 명확화 ▲주민 참여형 수익 구조 마련 ▲행정 절차 간소화가 필요하다고 제언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농민 주도 원칙과 식량안보 가치 반영이다. 해외 사례처럼 농업생산성과 토양 회복력을 함께 고려해야 지속 가능성이 확보된다.
영농형 태양광은 단순히 에너지를 생산하는 기술적 사업이 아니라, 농업과 지역사회가 함께 살아가는 미래형 모델이다.
농지를 보존하며 얻은 수익이 다시 지역에 환원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 수 있고, 이는 지방 소멸 시대를 맞이한 농촌의 새로운 활로가 될 수 있다.
궁극적으로는 농민·지역 연구기관·기업·정부가 함께 참여하는 거버넌스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
이는 한국 농업의 미래뿐 아니라 농촌의 지속 가능성을 설계하는 중요한 사회적 실험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영농형 태양광은 농업 기반을 지키면서 소득을 높이고, 청년농 육성과 지역 재생을 동시에 이끌어낼 수 있는 미래형 대안이다.
제도적 뒷받침과 지역 공동체의 협력이 더해진다면, 이는 농촌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지속 가능한 발전 동력이 될 것이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