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의회가 첨단 인공지능(AI) 칩 수출을 제한하고 미국 내 우선 공급 의무화를 담은 ‘GAIN AI 법안(Guaranteeing Access and Innovation for National Artificial Intelligence Act)’을 추진 중이지만, 엔비디아는 이로 인해 미국 기업 경쟁력과 글로벌 시장이 위축될 것이라며 반대 입장을 밝혔다.
엔비디아는 5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주초 미국 상원 의원들이 발의한 ‘GAIN AI 법안’에 대해 강하게 반발했다.
이 법안은 첨단 AI 칩의 수출 전 미국 내 수요를 우선 충족하도록 의무화하고, 특정 성능 기준을 초과하는 GPU 수출을 제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최근 국방수권법안(NDAA)의 일부로 상정됐으며, 총연산 성능(TPP) 2400 이상이거나 메모리 대역폭이 특정 수치를 넘는 칩은 수출 허가 대상이 된다.
특히, TPP 4800을 초과하는 제품은 수출이 전면 금지된다. 이에 따라 엔비디아의 주력 제품인 H100(1만6000 TPP)과 B300(6만 TPP), AMD의 'MI308' 등이 규제 대상에 포함된다.
엔비디아는 “미국은 항상 우리의 최대 시장이었고 앞으로도 변함없다”라며 “존재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려는 이 법안은 전 세계 산업 경쟁을 위축시키고, 결과적으로 미국 경제와 기술 리더십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우리는 해외 고객을 위해 미국 고객을 소외시킨 적이 없다”고 강조했다.
법안이 통과되면 엔비디아와 AMD 같은 칩 제조업체들은 ▲미국 내 주문이 모두 처리됐는지 ▲수출이 국내 공급을 지연시키지 않는지 ▲외국 고객에게 더 나은 조건을 제공하지 않는지 등을 증명해야 하며,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면 수출 허가가 거부된다.
이번 법안은 바이든 행정부가 추진했던 ‘AI 확산 규칙(AI Diffusion Rule)’과 비슷한 것으로, 첨단 AI 칩의 중국 유입을 차단하고 미국 기업의 우선 접근권을 보장하려는 목적을 담고 있다. 엔비디아 매출 중 미국 비중은 49.9%에 달하며, 중국은 28%, 싱가포르는 18%를 차지한다.
엔비디아는 최근 트럼프 행정부에 매출 일부를 내주는 대신, 금지된 AI 칩의 중국 수출을 재개하는 데 가까스로 성공했다.
이어 이번 법안이 통과될 경우, 또 한번 번거로운 절차를 거쳐야 할 것으로 보인다.
박찬 기자 cpark@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