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은 전국에서 농지 면적이 가장 넓은 지역 중 하나이지만, 고령화율 25% 이상, 농가 경영주의 평균 연령이 70세에 육박할 정도로 빠르게 늙어가고 있다.
인구 유출과 농업 소득 정체는 지역 소멸 위기로 이어지고 있으며, 실제로 휴경지·방치 농지 증가가 전남 농업의 가장 큰 숙제로 꼽힌다.
이런 상황에서 영농형 태양광은 단순한 에너지 사업이 아니라, 전남 농촌의 구조적 문제를 완화할 수 있는 새로운 출구가 될 수 있다.
영농형 태양광과 전남도의 융합 포인트
전남도는 농지 면적은 넓지만, 고령화와 인구 유출로 경작이 중단되거나 경제성이 낮은 휴경지가 늘고 있다.
이런 현실에서 영농형 태양광은 단순한 에너지 사업을 넘어, 전남 농촌의 구조적 문제를 풀어낼 수 있는 실질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첫째, 휴경지·저생산지의 활용이다. 전남의 방치 농지는 관리 비용만 늘고 생산성은 낮아 지역경제에 기여하지 못하고 있다.
이 땅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해 농작물 재배와 발전을 병행하면, 농지를 보존하면서도 새로운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즉, 버려지는 땅을 에너지와 농업의 복합 자원으로 환원시키는 것이다.
둘째, 고령농가의 소득 안정이다. 전남의 고령 농민들은 가격 변동성이 큰 작물에 의존해 생활 기반이 불안정하다.
영농형 태양광에서 나오는 발전 수익은 월 100만 원 내외의 안정적 현금 흐름을 제공할 수 있어, 농업 연금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지자체나 농협이 관리형 컨소시엄을 운영한다면 고령 농가는 운영 부담 없이 소득 안정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셋째, 청년농 정착 기반 마련이다. 청년들이 전남 농촌에 정착하기 어려운 가장 큰 이유는 초기 소득 불안정이다.
하지만 영농형 태양광을 병행하면 적은 면적에서도 안정적인 현금 수익을 확보할 수 있다.
이는 귀농·창업을 원하는 청년층의 진입 장벽을 낮추고, 농촌 인구 구조 개선과 청년농 육성 정책의 효과를 동시에 높일 수 있다.
넷째, 지역사회 환원과 공동체 회복이다. 발전 수익 일부를 마을 기금이나 협동조합에 환원하는 구조를 설계하면, 주민 갈등을 줄이고 공동체 기반의 자생력이 강화된다.
마을 단위 영농형 태양광 발전소는 에너지 자립과 마을 경제 활성화를 동시에 이끌어낼 수 있어, 전남 농촌의 공동체 회복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전남도 차원의 전략적 접근과 기대효과
▸제도 개선 건의: 농민 주도 원칙을 반영해, 외부 자본의 무분별한 진입이 아닌 지역 농민·농협 중심의 참여형 사업구조를 제도화해야 한다.
▸전문 인력 양성: 전남농업기술원, 지역 대학, 농업고등학교와 연계해 영농형 태양광 관리·운영 교육 과정을 신설한다.
▸공공-민간 파트너십: 지자체, 농협, 에너지 기업, 주민이 함께 참여하는 전남형 거버넌스 모델을 만들어 지역 맞춤형 발전 사업을 추진한다.
▸농가 소득 안정화: 불안정한 작물 가격 의존도를 줄이고, 고령농·청년농 모두에 새로운 소득원이 생긴다.
▸농지 보전: 방치된 농지를 개발 대신 에너지-농업 복합 활용으로 되살려 농지 잠식을 막는다.
▸지역 공동체 회복: 발전 수익이 마을로 환원되어 주민 갈등을 줄이고, 공동체 기반이 강화된다.
▸전남 브랜드 가치 상승: “농업과 에너지가 공존하는 친환경 농도(農道)”라는 이미지를 구축해 향후 ESG·지속가능성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정리하면, 전남도의 현재 농촌 현실 속에서 영농형 태양광은 단순한 발전사업이 아니라 농촌 소득 안정, 청년농 유입, 공동체 재생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출구가 될 수 있다.
핵심은 농민 주도 + 지자체 거버넌스 + 청년농 연계를 통한 전남형 모델을 만드는 것이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