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S(대표 이준희)는 11일 서울 코엑스에서 연례행사인 ‘리얼 서밋 2025’를 개최, 인공지능(AI) 에이전트 기술을 기반으로 사업을 확장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에는 8000명 이상의 현장 참석자를 포함해 온라인 청중 등 1만5000여명이 참여했다.
이준희 삼성SDS 대표, 피터 플루임 SAP 엔터프라이즈 클라우드 서비스 총괄, 마이클 델 델테크놀로지스 회장의 기조연설을 시작으로 이경종 KB금융그룹 금융AI2센터장, 김경호 원익그룹 전무, 최훈 업스테이지 개발총괄 등이 삼성SDS 솔루션 도입 사례와 효과를 소개했다.
‘인공지능(AI) 에이전트 기반 풀스택 AI 솔루션’을 강조했다. 자체 AI 에이전트 기술은 물론, 워크데이, 델테크놀로지스 등과의 기술 협력으로 기업의 AI 컨설팅 및 구축까지 담당한다고 소개했다.
이준희 삼성SDS 대표는 “업종별 에이전트를 구축해 모델 컨텍스트 프로토콜(MCP) 및 A2A 등을 접목, ‘멀티 에이전트’ 방향으로 나아갈 것”이라며 “고객 및 업종별로 적합한 에이전트를 지속적으로 개발해 마켓플레이스에 업로드하는 전략으로 나아가겠다”라고 말했다.
현재 삼성 클라우드 플랫폼(SCP)을 기반으로, 생성 AI 플랫폼 '패브릭스', 협업 솔루션 기반 생성 AI 서비스 '브리티 코파일럿', 업무 프로세스 자동화를 위한 '브리티 오토메이션' 등을 운영 및 제공하고 있다.
특히, 브리티코파일럿은 줌이나 구글 미트 등 기존 회의 시스템과 비교하면 언어 측면이 강하다고 밝혔다. 대부분 회의 시스템은 공용 언어를 세팅해야만 자막이 제공되지만, 브리티코파일럿은 별도 설정 없이도 즉시 번역을 제공해 준다는 설명이다. 현재 일본어와 베트남어 중국어 등 7개 국어를 지원하며, 11월에는 17개 국어로 확대할 계획이다.
풀스택 AI 솔루션을 기반으로 사업 확장 의사도 밝혔다. 이미 다수의 해외 계약을 맺었으며, 정부 AI 사업에도 적극 참여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지난 8일 발표된 ‘국가 AI컴퓨팅 센터 추진 방안’도 언급했다. 정부는 이번 사업을 통해 민관 협력을 기반으로 첨단 GPU 5만장 이상을 확보할 계획이다. 삼성 SDS는 “참여를 긍정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앞으로는 사용자 맞춤형 에이전트 기능을 제공하는 ‘퍼스널 에이전트 기술’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준희 대표는 “AI 에이전트가 업무 현장에 도입되면 기업은 효율성과 속도에서 전례 없는 혁신을 경험하게 될 것”이라며 “AI와 클라우드 인프라, 데이터 처리 능력, 보안 역량 등 전문성이 필수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장세민 기자 semim99@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