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일 열린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 출범식 (사진=대통령실)
지난 8일 열린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 출범식 (사진=대통령실)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는 공식 출범 일주일만에 체계 정비를 완료했다고 16일 밝혔다. 

먼저, 위원회는 출범 3일 만인 9월11일에 제1차 운영위원회를 개최한 바 있다. 1차 운영위원회에서는 대한민국 AI액션플랜 추진방안, 2026 전 부처 AI 예산관리 방안 등을 중점 논의했다. 

그 결과, 10월까지 각 분과별 소관 AI액션플랜 과제 리스트를 확정하고 11월 내로 대한민국 AI 액션플랜 수립을 완료하기로 결정했다. 더불어, 2026년 정부안으로 확정된 국내 AI 예산 약 10.1조원도 관계 부처 협의를 통해 내년도 본사업 공고 이전까지 기획하겠다고 전했다. 

특히, 출범 이후 일주일 만에 8개 분과위원회 구성을 1차 완료했다고 전했다. 출범 당시 각 분과에 배정됐던 33명의 민간위원에 52명의 분과위원을 추가, 총 85명의 분과위원으로 구성했다. 각 분과별 민간위원 인원은 10명 내외다. 이후에는 별도 인원 제한을 두지 않는 자문단도 구성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날 오전에는 위원회의 첫 대외행보로 요수아 벤지오 몬트리올대학교 교수와 면담을 진행했다. 임문영 부위원장이 서울스퀘어에서 진행, AI액션플랜 추진 방향과 한국-캐나다 AI,로보틱스 연구협력, AI 국제협력 등을 논의했다는 설명이다.  

요수아 벤지오 교수는 위원회 글로벌 자문단에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밝혔으며, 한국과 캐나다의 AI 및 로보틱스 협력 가능성이 열려 있다고 전했다. 캐나다 학생 및 교수들이 한국과 교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위원회는 결정사항 관련 속도감 있는 집행 등을 위해 국가인공지능책임관협의회를 조속한 시일 내에 개최할 계획이다. 협의회는 각 정부부처 차관급 공무원인 인공지능책임관 등으로 구성되며, 대통령실 AI미래기획수석비서관이 의장을 맡고 위원회 지원단장이 간사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임문영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 부위원장은 “한국의 AI 3대 강국 도약을 한시라도 빨리 뒷받침하기 위해 분과위원회 구성 등 위원회의 기본적인 체계를 조속히 정비했으며, 글로벌 협력을 통해 위원회의 첫 행보를 알렸다”라며 “국가와 국민이 위원회에 기대하는 역할에 부응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장세민 기자 semim99@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