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KT)
(사진=KT)

KT(대표 김영섭)는 마이크로소프트(MS)와의 협업을 통해 개발한 인공지능(AI) 모델 ‘소타 K(SOTA K) 빌트 온 GPT-4o’를 출시했다고 29일 밝혔다. 

GPT-4o에 고품질 한국 특화 데이터를 학습, 국내 사회 문화에 최적화된 모델로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데이터 주권 보호 ▲한국 문화 이해 ▲모델 선택권 보장(독자 모델, 협력 모델, 오픈 모델) ▲안전하고 책임감 있는 AI 기준 등에 맞춘 모델이다. 

한국어 경어법과 방언은 물론, 법률과 금융, 역사 등 특정 산업군 내에서 사용하는 전문 용어 등 실제 비즈니스 환경에 적합하다고 전했다. 

KT는 자체 데이터셋을 구축, 정량 평가와 정성 평가를 진행했다. 그 결과, 한국사와 한국어, 한국 법령 등 지식을 요구하는 공무원 시험과 귀화 시험에서 GPT-4o 모델을 능가하는 성과를 보였다. 

금융과 교육, 의료, 공공 분야에서도 우수한 성과를 보여줬다고 전했다. 검색 증강 생성(RAG) 기술을 활용, 기업 내 데이터를 활용한 산업 특화 AI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미 각 산업 분야에서 성능을 입증했다고 소개했다. 메리츠화재에서는 보험 업계에 특화된 약관의 자동 요약 리포트 생성과 상담원 스크립트 생성에, EBS에서는초중고 난이도별 교과 문항을 생성하는 데 사용한다. 연세의료원에서는 영어와 한국어가 혼합된 의료 데이터를 안내하고, 한국전력공사에서는 내부 시스템과 연동해 질의응답이 가능한 챗봇으로 활용 중이다.

KT는 자체 B2C 사업에 소타 K를 적용해 성능을 검증한 뒤 파트너사에 서비스를 확대 제공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국내 AI 생태계의 성장과 발전을 도모한다는 전략이다. 

윤경아 KT 에이전틱 AI 랩장 상무는 “MS와의 협업을 통해 축적한 기술 노하우는 앞으로 다양한 AI 모델 개발에 확산 적용될 것”이라며 “국내 AI 생태계 활성화는 물론 공공과 민간 전반에서 AI를 활용한 혁신을 주도하며 국가 AI 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수빈 기자 sbin08@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