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안풍력 (AI타임스DB)
신안풍력 (AI타임스DB)

전라남도가 신안에 이어 진도 앞바다에 3.6 GW 규모의 해상풍력 집적화단지 지정을 추진한다.

지난 4월 아시아·태평양 최대 규모인 신안 해상풍력 3.2 GW 단지를 확보한 데 이어, 다시 한 번 '전국 해상풍력 1번지'로서의 입지를 강화하려는 전략이다.

전남도는 16일 도청에서 열린 '진도 해상풍력 집적화단지 민관협의회'에서 1단계 1.47 GW, 2단계 2.13 GW 등 총 3.6 GW에 달하는 사업계획을 공개했다.

이번 사업은 10월 말까지 기후에너지환경부에 지정 신청을 제출할 예정이며, 승인 시 지자체 주도형 REC(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 가중치(최대 +0.1)를 부여받는다. 이를 통해 지역 주민이 참여하는 수익공유 사업이 가능해진다.

정현구 전남도 에너지산업국장은 "진도 1·2단계가 모두 지정되면 연간 REC 수익만 2,800억 원에 달한다"며 "이익 공유를 통해 지역 주민이 에너지 소득을 체감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전남도의 이번 추진은 '시간과의 싸움'이다. 해상풍력 집적화단지 제도는 2026년 3월 '해상풍력법' 시행과 함께 폐지될 예정으로, 올해 10월이 사실상 마지막 지정 신청 기한이다. 

인천·울산·전북 등 전국 8곳 내외의 지자체가 잇따라 신청을 준비 중이지만, 풍황(風況)과 입지, 주민 수용성 측면에서 전남이 우위를 점한다는 평가가 많다.

전남 앞바다는 평균 풍속이 높고, 수심이 완만하며, 대규모 단지를 조성하기에 적합하다.

이미 신안 지역에서 48조 원 규모의 민간투자 계획이 추진 중이며, 풍력 기자재·설치·정비산업 등 후방 산업 생태계 구축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진도 해상풍력 집적화단지 민관협의회
진도 해상풍력 집적화단지 민관협의회

즉, 이번 진도 사업은 신안 해상풍력의 확장판이자 '전남형 그린 뉴딜 2단계'로 볼 수 있다. 하지만 과제도 남아 있다. 어업권 보상, 해양 환경영향, 송전선로 경과지 갈등 등은 여전히 난제다.

특히 사업이 대형화될수록 송전 인프라 구축비용과 주민협의 과정이 복잡해질 가능성이 크다.

전남도는 향후 주민설명회 6회, 제2차 민관협의회 등을 통해 의견을 수렴한 뒤 최종 사업계획을 확정할 예정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진도 프로젝트를 두고 "제도 종료를 앞둔 마지막 타이밍에, 전남도가 해상풍력 주도권을 완전히 굳히려는 전략"이라고 분석한다.

즉, 제도적 유효기간 내에 규모화·지역화·산업화를 동시에 달성하려는 시도다. 전남도는 신안과 진도를 양축으로 '해상풍력 벨트'를 구축해, 2030년대 중반까지 국내 재생에너지 허브로 자리매김한다는 목표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