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가 1조2천억원 규모의 국가 핵융합 연구시설(일명 '인공태양 연구시설')을 나주에 유치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번 사업은 미래 청정에너지 시대를 열 핵심 거점으로, 전남도뿐 아니라 전북도와 포항시도 참여 의사를 밝히며 치열한 3파전이 예고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15일 '핵융합시설 핵심기술 개발 및 첨단 인프라 구축사업' 부지 유치 공모를 공고했다.
이 사업은 민·관 협력을 통해 핵융합 상용화 핵심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실증할 첨단 연구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 목적이다.
총 사업비는 약 1조2천억원으로, 2027년부터 2036년까지 투입될 예정이다. 주요 내용은 ▲한국형 혁신형 핵융합로 구현을 위한 7대 핵심 기술 개발(3,500억원) ▲핵심 연구 실증 기반 구축(8,500억원) 등이다.
과기부는 오는 21일까지 지자체 유치의향서를 받고, 11월 13일까지 유치계획서를 접수한 뒤 현장조사를 거쳐 11월 말 최종 부지를 선정할 예정이다.
"인공태양, 전남의 미래 바꿀 핵심 과제"
'인공태양'은 태양의 에너지 생성 원리를 모방해 중수소와 삼중수소의 핵융합 반응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기술이다.
수소 1g으로 석유 8t에 맞먹는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으며, 탄소 배출이 거의 없고 폭발 위험도 낮아 차세대 청정에너지로 주목받는다.
신정훈 국회 행정안전위원장(나주·화순)은 "인공태양 연구시설은 전남의 운명을 바꿀 핵심 과제”라며 “당과 지자체가 유기적으로 협력해 반드시 유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남도와 나주시는 에너지 산업 중심도시로서의 강점을 내세우며 유치전에 나섰다.
나주는 세계 유일의 에너지 특화대학인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켄텍)와 한국전력공사, 전력거래소 등 다수의 에너지 공기업이 집적된 국내 최대 에너지 거점이다.
특히 전남도는 2021년부터 인공태양 연구시설 유치 타당성조사, 입지결정 용역, 생태계 조성 방안 기획 과제 등 다수의 사전 연구를 수행해왔다.
2024년에는 전국 최초로 인공태양 유치 전담 TF를 출범시키고, 도·한전·켄텍·나주시 실무TF를 구성해 유치 전략을 구체화했다. 전남 인공태양 포럼과 자문단 발족, 기업 간담회 등 민·관 협력체계도 확대하고 있다.
나주시는 이미 연구시설 부지를 확보했으며, 지질 안전성과 정주 여건, 산업 연계성이 우수한 점에서 최적지로 평가받는다.
전남도와 협력해 2022년에는 핵융합 8대 핵심기술 중 하나인 '초전도 도체 시험설비' 구축 사업을 전국 최초로 추진했다. 498억원 규모의 해당 시설은 2028년 완공될 예정이다.
1만개 일자리·200개 기업 유치 기대
전남도는 연구시설이 유치될 경우 200개 이상의 관련 기업과 연구소기업이 입주하고, 약 1만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또한 연구인력 양성, 초전도체 및 중성입자빔 시험 설비 구축 등 산업 연계 효과도 기대하고 있다.
전남도는 21일 김영록 지사 주재로 '인공태양 연구시설 유치 킥오프 회의'를 열고 유치 추진위원회를 구성한다. 도민 지지 서명 운동 등 범도민적 공감대 확산에도 나설 예정이다.
전남도 관계자는 "인공태양 연구시설은 국가 균형발전과 에너지 주권 확립의 핵심 인프라"라며 "연구 인프라와 전문 인력, 산업 기반을 모두 갖춘 전남이야말로 대한민국 핵융합 연구 도약의 유일한 해답"이라고 말했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