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 전역이 정부로부터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으로 지정됐다. 

이번 조치로 지역 내에서 생산한 전기를 직접 활용하는 분산형 전력체계 구축이 가능해지면서, 에너지 자립과 산업 경쟁력 강화의 발판이 마련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전남 영광 월평지역의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설 전경. 농지 위에 설치된 태양광 패널 아래로 벼가 자라고 있으며, 농업과 재생에너지 생산을 병행하는 분산형 에너지 모델의 대표 사례로 꼽힌다. (사진=파루솔라)
전남 영광 월평지역의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설 전경. 농지 위에 설치된 태양광 패널 아래로 벼가 자라고 있으며, 농업과 재생에너지 생산을 병행하는 분산형 에너지 모델의 대표 사례로 꼽힌다. (사진=파루솔라)

5일 열린 제36차 에너지위원회에서 전남을 비롯해 제주, 부산, 경기 등 4개 지역이 특화지역으로 확정됐다. 

특히 전남은 당초 '솔라시도 기업도시(145㎢)' 일부만 지정될 예정이었으나, 지정 범위가 도 전역(1만2,363㎢)으로 확대됐다.

이에 따라 도내 22개 시군이 모두 분산에너지 제도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분산특구에서는 지역 발전사업자가 한국전력공사를 거치지 않고 전력을 기업과 주민에게 직접 공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기요금 절감과 함께, 재생에너지 출력 제한(출력제어) 문제 완화가 기대된다. 또한 각종 에너지 신기술을 실증할 수 있는 규제특례가 적용돼 신산업 육성 환경도 개선된다.

전남도는 이번 지정으로 지역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마이크로그리드 기반 에너지 체계를 구축하고, 재생에너지 100%(RE100) 산업단지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다.

여수·광양 등 기존 산업단지의 전력 비용 절감과 에너지 효율 향상도 예상된다.

아울러, 분산형 전력 인프라는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등 대규모 전력 수요 산업의 유치에도 유리하게 작용할 전망이다.

최근 전남은 오픈AI·SK그룹의 글로벌 데이터센터와 삼성SDS 컨소시엄의 국가 AI 컴퓨팅센터 유치지로 검토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지정이 단기적으로는 지역 내 전력 효율 개선과 전기요금 안정에, 장기적으로는 재생에너지 중심의 산업 생태계 조성에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제도 시행에 필요한 전력망 확충과 민간 참여 유도, 기술 실증 성과 확보가 향후 과제로 꼽힌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