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분산형 전력체계 구축을 위한 4곳의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을 최종 선정했다.
전남, 제주, 부산 강서, 경기 의왕이 이름을 올렸으며, 수소·LNG 기반 열병합발전을 앞세운 울산·경북·충남은 지정에서 제외됐다.
에너지정책 중심축이 재생에너지와 에너지저장장치(ESS)를 기반으로 한 신사업으로 옮겨가고 있음을 확인한 결정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서울에서 열린 제36차 에너지위원회에서 이 같은 지정안을 확정했다.
특구로 지정된 지역에는 전력 직접거래(직판), 유연 요금제, 분산전원 실증 등 다양한 규제특례가 적용돼 새로운 전력시장 모델을 시험할 수 있게 된다.
제주는 풍력·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비중이 높아 잉여전력 문제가 잦은 지역으로, 이를 활용한 P2H(전력-열 전환), 가상발전소(VPP), 전기차 배터리를 활용한 V2G 실증이 추진된다.
이미 입찰시장·실시간시장 등 제도 기반이 마련돼 있어 분산전력 기술 실험에 최적지로 평가된다.
전남은 태양광 출력제어가 반복되는 해남·영암 일대를 중심으로 데이터센터 유치와 AI 기반 마이크로그리드 실증을 결합한 모델을 내놨다.
재생에너지 접속대기 물량을 줄이기 위한 ESS 보급 사업도 함께 추진돼 지역 계통 안정이 주된 목표다.
대도시형 특구인 부산 강서와 경기 의왕은 수요관리 중심 모델을 준비했다.
부산 강서는 최대 500MW 규모의 대형 ESS 단지를 기반으로 산업체와 데이터센터 등에 차등 요금제를 적용하는 전력 서비스 실증이 이뤄진다.
의왕은 공원 기반의 태양광·ESS·전기차 충전 인프라를 통합한 마이크로그리드를 운영하며 시간대별 전력가격을 활용한 수익 구조를 시험한다.
반면 열병합발전소 건설을 중심으로 특구를 설계했던 울산·경북·충남 지역은 모두 지정이 보류됐다.
업계에서는 "정부가 분산특구를 재생에너지 실증 무대로 명확히 설정했다는 신호"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이번 특구 지정은 장거리 송전 중심의 전력 구조에서 지역 단위의 전력 생산·소비로 이동하는 정책 전환의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정부는 특구를 기반으로 직판제도 운영 방식, 재생에너지 잉여전력 처리, ESS 운영 규칙 등 전력시장 개편의 현장 데이터 확보에 나설 계획이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