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가 미국 정부에 현재 반도체 분야에 적용되는 세액공제를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분야로 확대해달라고 건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날 샘 알트먼 CEO 등이 밝힌 '정부 지원' 문제가 무엇인지 확실하게 밝혀진 것이다.
블룸버그는 8일 오픈AI가 백악관에 서한을 보내 현재 적용 중인 칩스법(Chips Act)의 세액공제 적용 범위를 AI 데이터 센터와 AI 서버 생산업체, 그리고 변압기와 같은 전력망 구성 요소로 확대해 줄 것을 제안했다고 보도했다.
크리스 리한 오픈AI 최고 글로벌책임자(CGO)는 지난달 27일자로 마이클 크래시오스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장에게 이런 내용이 담긴 서한을 발송했다. 이런 조치가 "자본의 실질적 비용을 낮추고, 초기 투자 위험을 줄이며, 민간 자본을 활용하여 병목 현상을 완화하고 미국에서 AI 구축을 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서한은 오픈AI가 온라인에 사본을 게시하며 알려졌다.
칩스법은 조 바이든 행정부 시절인 2022년 제정, 미국에 반도체 공장을 짓는 기업에 25%의 세액공제를 지원한다. 지난 7월에는 트럼프 행정부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Big Beautiful Bill)'이라는 감세 지출 법안에 따라 35%로 확대됐다.
오픈AI는 서한에서 정부가 AI 산업 제조업체에 보조금과 비용 분담 계약, 대출, 대출 보증 등을 광범위하게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이를 통해 구리, 알루미늄, 전기강판 등에 대한 중국의 시장 왜곡을 막을 수 있다고 전했다.
직접 자금을 지원하면 변압기와 같은 전력망 핵심 요소의 출하 시간을 단축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알트먼 CEO는 전날 X(트 위터)를 통해 앞으로 8년 간 오픈AI가 1조4000억달러(약 2000조원)를 인프라 구축에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올해 매출은 200억달러에 불과하며 그나마 인프라 투자로 당분간 적자를 벗어나기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은 막대한 자금을 어떻게 조달할지에 의문을 보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오픈AI는 중국과의 AI 경쟁에서 이기기 위한 것이라는 점을 부각, 정부가 이를 최대한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이처럼 오픈AI는 최근 인프라 구축에 올인하는 분위기다. 회사의 미래에 가장 큰 위협으로 '인프라 부족'을 꼽고 있다.
이 때문에 프라이어 CFO는 5일 한 행사에서 정부의 개입이 필요하다고 밝혔으나, 이는 정부 지원금 요청으로 해석됐다. 이 때문에 백악관의 AI 차르인 데이비드 색스는 "AI에 대한 연방 정부의 구제금융은 없을 것"이라고 선언했다. 그리고 오픈AI는 발언 내용에 오해가 있었다고 해명했다.
The government has played a role in critical infrastructure builds. Our public submission (posted on our blog) shares our thinking and suggests ideas for how the US government can support domestic supply chain/manufacturing.
— Sam Altman (@sama) November 7, 2025
This is very in line with everything we have heard… https://t.co/1kAyLKtK6a
알트먼 CEO는 8일 다시 X에 게시물을 올리고 이런 점을 거듭 강조했다.
"정부가 국내 공급망 확보를 위해 어떤 조치를 취하려는 의지를 보이는 것은 매우 바람직하며 국가 정책의 일부로, 이치에 맞는다고 생각한다"라며 "하지만 오픈AI에 대한 대출 보증과는 매우 다르며, 이 점이 명확하기를 바란다"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서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 대변인은 논평 요청에 응답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