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가 정부의 '분산에너지 특구'로 최종 지정되면서 해남군과 영암군이 각각 추진해 온 에너지 자립·첨단산업 유치 전략에 속도가 붙게 됐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지난 5일 열린 제36차 에너지위원회에서 전남·제주·부산(강서)·경기 의왕 등 4곳을 분산에너지 특구로 확정했다.
분산에너지 특구는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에 따라 전력 직접거래, 다양한 요금제 도입, 신기술 실증 등 기존 규제를 완화해 지역 단위의 지산지소형 에너지 시스템을 구축하는 제도다.
전남은 전국 최고 수준의 태양광 보급률을 갖고 있으나 송전망 부족으로 잦은 출력 제한 문제가 있었다.
이번 특구 지정으로 지역에서 생산한 재생에너지를 산업·데이터센터 등 수요처와 직접 연계해 지역 내에서 소비하는 구조가 가능해지면서, 전력 불균형 해소와 새로운 전력시장 모델 마련이 기대되고 있다.
해남군은 솔라시도 기업도시와 화원산단의 기업 유치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전망했다.
솔라시도는 이미 2조5000억원 규모의 국가 AI컴퓨팅센터 유치가 사실상 확정된 데다, 오픈AI·SK가 참여하는 AI데이터센터 유치 및 RE100 국가산단 지정 가능성도 높게 언급되고 있다.
해남은 2030년까지 5.4GW 태양광 단지와 ESS·송배전망·전용 변전소를 갖춘 '재생에너지 허브터미널'을 통해 첨단산업에 저렴한 재생에너지를 공급할 계획이다.
영암군도 에너지 기본소득·RE100 산업단지·수소도시 조성 등 '에너지 지산지소 그린시티 100' 정책이 특구 지정을 계기로 본격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삼호·미암 간척지에 2.1GW 주민참여형 태양광 단지를 조성해 기업 RE100 수요를 충족시키고, 발전 이익을 전 군민에게 에너지 기본소득 형태로 지급하는 구상이 핵심이다.
두 지자체는 분산에너지 특구 지정이 지역 내 생산·소비 구조를 갖춘 에너지 자립도시 실현의 결정적 기반이라며, 앞으로 정부·전남도와 협력해 글로벌 첨단기업 유치 및 지역 경제 활성화에 총력을 기울이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