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보성군이 생활환경 개선 사업 '클린600'을 통해 지역 청결을 넘어 대한민국 주민자치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했다.
지난 7일 국회 사랑재에서 열린 '2025 참좋은 지방자치 정책대회'에서 보성군의 '클린600' 사업이 대상을 수상하며 그 성과와 확장 가능성을 전국적으로 인정받았다.
'클린600'의 출발점은 단순한 환경 정비가 아니라 주민 스스로 자신이 사는 마을의 환경을 책임지는 구조를 만들자는 목표였다.
보성군 전역 600개 자연마을 주민들이 직접 생활환경 정비 계획을 세우고 실천하며, 군은 수거·운반·처리뿐 아니라 교육·홍보·행정 지원 체계를 촘촘히 마련했다.
이 체계가 작동하자 ▲방치폐기물 감소 ▲불법소각 근절 ▲재활용 확산 ▲분리배출 생활화 ▲마을 간 교류 증가와 공동체 재생에서 눈에 띄는 변화가 나타났다.
주민 참여가 곧 마을의 변화로 이어졌고, 그 변화가 다시 주민 참여를 확장시키는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졌다. 행정이 앞서 이끄는 방식이 아닌, 주민이 주체가 되고 행정이 전략적 지원자로 나선 점이 큰 차별점으로 평가됐다.
대한민국 지방자치 정책의 새로운 지향점 제시
이번 정책대회에서 '클린600'은 ▲생활 기반의 주민자치 모델 구현: 주민이 계획·실행·평가까지 전 과정 참여 ▲민관 협력의 완성도: 행정이 주민 활동을 촘촘하게 연결·지원 ▲지속 가능성: 쓰레기 처리 방식 개선에서 공동체 기반 강화까지 다양한 성과 창출 ▲확산 가능성: 환경을 넘어 복지·문화·교육으로 확장된 적용 모델 측면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단순한 청결 운동을 넘어, 지역 공동체를 되살리고 자치 역량을 강화한 정책 플랫폼으로 발전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더욱 크다.
김철우 보성군수는 "이번 대상은 행정의 성과가 아니라 주민들의 실천이 모여 만든 결실"이라고 강조하며, "보성군이 앞으로도 주민 중심, 행정 지원형 자치 모델을 흔들림 없이 추진할 것"이라 밝혔다.
보성군은 이미 '클린600'의 운영 경험을 기반으로 환경뿐 아니라 복지·문화·교육 등 주민 생활 전반으로 자치 모델을 확장하고 있다.
이번 수상을 계기로 타 지자체와 정책 모델을 공유하고, 전국적인 주민주도 정책 네트워크를 구축할 계획이다.
'클린600'은 작은 시골 마을에서 시작해 전국적 관심을 모은 대표적 성공 사례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한국형 주민자치의 미래를 보여주는 살아 있는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