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CEO가 인스타그램을 통해 바이든 대통령 당선자와 해리스 부통령 당선자를 축하했다.(사진=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CEO 인스타그램)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CEO가 인스타그램을 통해 바이든 대통령 당선자와 해리스 부통령 당선자를 축하했다.(사진=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CEO 인스타그램)

미국 빅테크 기업 수장들이 이번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한 조 바이든 민주당 대통령 당선인에게 축하의 메세지를 보냈다.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최고경영자(CEO)와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주도 바이든의 승리를 축하하며 향후 행보를 기대했다.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CEO는 7일(현지시간) 개인 인스타그램을 통해 "단결, 공감, 품위는 지난 시대의 특성이 아니다"라며 조 바이든 대통령 후보와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 후보의 당선을 축하했다. 이어 "유권자의 기록적인 투표 참여로 미국의 민주주의가 강하다는 것을 다시 한번 증명했다"고 소회를 밝혔다.

같은 날 빌 게이츠 MS 창업주도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바이든 대통령 당선자와 해리스 부통령 당선자를 축하한다"며 "미국의 기록적인 투표 수를 확보하는 데 힘쓴 선거 관리인들에게 감사드린다"고 전했다.

이어 "새로운 정부가 의회와 힘을 합쳐 급증하는 전염병을 통제하고, 국내 불평등과 기회 문제를 해결하기 바란다"며 "빈곤과 기후 변화 등 국제적 문제에 전 세계 파트너와 협력하길 바란다"고 기대했다.

이외, 브래드 스미스 MS 사장과 셰릴 샌드버그 페이스북 최고운영책임자(COO)도 두 당선인을 축하했다.

해외 외신은 이번 바이든 당선에 따라 빅테크 기업과 관련한 정책적 변화를 예상하고 있다.

지난 5일(현지시간) 미국 매체 CNN은 바이든 당선에 따른 미국 기술 분야의 주요 이슈를 소개하며 빅테크 기업이 바이든의 당선을 바라고 있다고 보도했다.

조 바이든 대통령 당선인(사진=셔터스톡)
조 바이든 대통령 당선인(사진=셔터스톡)

매체는 바이든이 이번 선거에서 승리할 경우 ▲이민 정책 ▲ 대(對) 중국 전략 ▲통신품위법 230조와 독점 금지 ▲투자와 규제 등 이슈에 변화가 생길 것으로 전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H-1B(전문직 취업 비자)'를 비롯한 주요 취업 비자를 제한해 기술 회사의 외국인 노동자 고용을 위축시켰다. 이를 두고 바이든은 이민 정책에 개방적 입장을 취할 것이라며 이민 상한선을 면제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에 톰 포르테(Tom Forte) DA 데이비드슨 분석가는 "역사적으로 이민 우호 정책은 엔지니어 인재를 늘리는 데 있어 빅테크에게 이롭다"고 말했다.

미국의 날선 대 중국 정책도 완화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주 댄 아이브스(Dan Ives) 웨드부시 시큐리티스 분석가는 투자자에게 보낸 메모에서 "대부분의 월스트리트 분석가가 바이든이 당선될 경우 중국의 기술ㆍ정책 문제를 두고 다소 부드러운 입장을 취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중국을 향한 미국 정책이 현재보다 완화할 경우 미국 기술 회사의 위험을 줄이고 불확실성을 해소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애플은 매출의 약 15%를 중국에 의존하고 있으며, 인텔과 AMD 등 반도체 회사도 중국 매출에 영향을 받아 왔다.

하지만 매체는 공화당뿐 아니라 민주당에서도 일부 국회의원이 중국 기술 발전에 따른 미국 국가 안보 위협 문제를 우려하고 있다며 향후 중국을 향한 차기 대통령의 정책이 중요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외, 바이든은 망 중립성 회복을 목표로 광대역 기반 구조 구축에 200억달러 투자를 약속했다. 고등교육에 투자하고 망 접근성을 확대해 팬데믹으로 부각된 정보 격차를 해소하겠다는 계획이다.

이 같은 바이든의 계획은 빅테크 기업에게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포르테는 "더 많은 소비자가 초고속 인터넷 연결을 할 수 있는 만큼, 빅테크 기업에게 순이익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IT 업계 주요 쟁점 중 하나인 '통신품위법 230조' 문제도 있다. 이 조항은 제3자가 올린 유해물과 명예훼손 게시물의 경우 인터넷 기업이 법적 책임을 지지 않는다고 규정한다. 사실상 인터넷 기업을 향한 '면책 조항'인 셈이다.

이 조항을 두고 트럼프 대통령과 바이든은 모두 부정적 입장을 취한 바 있다. 트럼프는 소셜 플랫폼이 특정 콘텐츠를 제거ㆍ완화해 검열에 관여하며 보수주의자 목소리를 묵인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바이든의 경우 소셜 플랫폼 회사가 이 조항을 이유로 가짜뉴스 확산, 혐오 발언 등을 방관했다며 기술 회사의 책임 부재를 꼬집었다.

매체는 통신품위법 230조와 독점 금지 이슈의 경우 초당적 합의가 필요하기 때문에 바이든 당선 후에 빅테크 기업에게 유리한 변화를 가져올 지 불분명하다고 전했다.

 

[관련 기사]“트럼프냐 바이든이냐”…인공지능(AI)의 선택은?

[관련 기사]틱톡, 美 트럼프 행정부 상대 법적 대응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