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대표 박정호)이 AIᆞ빅테크ᆞ마케팅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2021년 조직개편ᆞ임원인사를 3일 단행했다.
박정호 사장은 “핵심 사업과 Product를 중심으로 조직을 개편했으며 AI가 모든 사업의 기반 플랫폼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SK텔레콤은 기존 조직을 AI 중심으로 재편해 AI 빅테크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
AI 서비스단은 ‘AI&CO’로 조직명을 변경하고 고객의 편리한 생활을 돕는 ‘AI Agent’ 서비스 개발에 집중함으로써 SK ICT 패밀리 회사의 모든 상품, 서비스 경쟁력을 끌어올릴 전망이다.
‘T3K’는 ▲딥러닝 기반 대화형 AI ‘한국어 GPT-3’ ▲AI 가속기 ▲데이터 분석 플랫폼 ▲MEC(모바일엣지컴퓨팅) 클라우드 개발에 집중하는 4개 제품전문 회사 개편됐다. ‘AI 1등 국가’ 실현을 목표로 직접 개발한 AI 반도체 ‘사피온’을 고도화하고 글로벌 시장에 출시하는 막중한 역할도 맡는다.
‘클라우드 트랜스포메이션(Cloud Transformation) 센터’는 전사 클라우드 전환에 박차를 가한다는 방침이다.
가장 큰 매출을 거둬들이는 ‘MNO사업부’는 9개 핵심 사업ᆞ제품에 주력하는 마케팅 컴퍼니로 재편됐다. 모바일, 구독형상품, MR(혼합현실) 서비스 등 조직명에 CO(Company)가 붙는 셈이다.
김연준 SKT 매니저는 “MNO 사업부가 9개 별도 법인으로 나뉘어지는 건 아니고 사업내 조직이름에 CO가 붙는 것”이라며 “일례로 모바일 CO, MR CO가 되는 형식이다”고 설명했다.
SK텔레콤은 언택트 시대를 맞아 MNO 사업부 온라인 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해 ‘언택트(Untact Camp)를 신설했다. 효율적인 5G 인프라 투자ᆞ운용을 위해 별도 조직이었던 ‘ICT Infra센터’도 MNO사업부 산하로 이동했다.
코퍼레이트(Corp)센터는 내년 글로벌 빅테크 기업과 협력으로 새로운 사업기회를 발굴하며 산하에 ‘IPO추진담당’ 등을 새로 만들어 국내외 투자를 유치해 자회사의 IPO를 지원한다. 또 ‘ESG혁신그룹’으로 SK ICT 패밀리의 ESG(환경ᆞ사회ᆞ지배구조) 활동을 이끈다.
AI타임스 문재호 기자 jhmoon@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