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5일 확대경제장관회의에서 "종합 반도체 강국 도약을 강력히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사진=청와대 유튜브 캡쳐)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확대경제장관회의에서 "종합 반도체 강국 도약을 강력히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사진=청와대 유튜브 캡쳐)

문재인 대통령이 반도체 사업에 강한 지원을 약속했다.

문 대통령은 15일 청와대에서 열린 확대경제장관회의에서 "반도체 산업은 우리 경제의 현재와 미래가 걸린 핵심 국가전략산업"이라며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을 우리가 계속 주도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지금 세계가 맞이하고 있는 '반도체 슈퍼 사이클'을 새로운 도약의 계기로 삼아 종합 반도체 강국 도약을 강력히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문 대통령이 확대경제장관회의를 주재한 것은 2019년 12월 이후 1년 4개월 만이다.

반도체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품귀현상에 직면했다. 미국과 중국, 유럽연합(EU) 등 국가는 반도체 굴기를 선언하며 자립률을 높이고 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쌍두마차로 있는 한국은 메모리 반도체 강국으로 꼽히지만, 전체 반도체 시장의 약 70%를 점유하고 있는 비메모리 반도체 시장 점유율은 부족하다고 지적돼왔다. 

[관련기사] [기자수첩] AI 시대, 비메모리 반도체 키웁시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가 최근 발표한 지난해 매출 상위 10개 팹리스 기업 중 한국 기업은 없었다. 파운드리도 삼성전자가 시장 2위를 점유하고 있지만, 1위 대만 TSMC와 격차가 크다. 따라서 반도체 업계에서는 미국이나 중국, 유럽연합처럼 정부에서 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한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계속 주장해왔다. 이번 문 대통령의 회의소집과 지원 약속은 업계 요청에 대한 답으로 풀이된다.

[관련기사] [기자수첩] 반도체 미·중 전쟁 속 한국 "결국 강해져야 산다"

문 대통령은 이날 "글로벌 공급망 재편 움직임이 가장 뚜렷한 업종은 반도체"라며 "거센 변화의 파고를 이겨내고 기회를 선점하기 위해 기업과 정부가 한 몸이 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최근 완성차 업체에서 불거지고 있는 차량용 반도체 수급문제에 대해서도 물량 확보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차량용 반도체 수급 부족에 대해 정부는 기업과 협력하며 물량 확보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반도체와 자동차 업계 동맹을 통해 국산화율을 높여 나가겠다"고 말했다.

배터리 산업에 대해선 '제2의 반도체'라며 중요성을 언급했다. "자동차 산업은 지난해 세계 5대 강국으로 올라섰고 전기차와 수소차 수출이 빠르게 늘고 있어 성장 가능성에 기대를 더 높이고 있다"며 "친환경차 시대에 맞게 완성차뿐 아니라 1000여 개 부품 업체까지 최고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는 이정배 삼성전자 사장과 이석희 SK하이닉스 사장, 공영운 현대자동차 사장, 가삼현 한국조선해양 대표, 정진택 삼성중공업 사장, 배재훈 HMM 사장, 최웅선 인팩 대표, 황호선 한국해양진흥공사 사장 등 주요 기업 대표가 참석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 변창흠 국토교통부 장관, 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 권칠승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구윤철 국무조정실장, 은성수 금융위원장도 함께 했다.

이정배 삼성전자 사장은 이날 "정부와 기업이 지혜를 모으면 상황을 극복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공영운 현대자동차 사장은 "(삼성전자에) 많은 도움을 받고 있다"면서 "차량용 반도체를 확보하기 위해 열심히 해외로 뛰고 있는데, 정부가 출장을 갈 수 있도록 조치를 신속히 해주어 많은 도움을 받고 있다"고 답했다.

AI타임스 김동원 기자 goodtuna@aitimes.com

[관련기사] 반도체 소부장 정책에 빠져 있는 것...ASML에 기술 공급하는 한국 기업 없다

[관련기사] 日 TOK, 포토레지스트 한국 생산량 2배 높인다...수출 규제 '머쓱'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