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대표 한성숙)와 KAIST AI대학원(원장 정송)이 초대규모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차세대 AI 개발을 위해 공동연구센터를 설립한다고 24일 밝혔다.
'KAIST-네이버 초창의적(Hypercreative) AI 연구센터'에는 3년간 수백억원 규모 투자가 이뤄질 예정이다. 초대규모·차세대 AI 개발에는 네이버와 KAIST AI대학원 내 연구원 100여 명이 참여한다.
네이버와 KAIST에게 초대규모 AI 개발을 위한 대규모 산학협력은 이번이 각기 두 번째다. 네이버는 서울대와, KAIST는 KT와 관련 협약을 맺은 바 있다.
이번 연구센터 공동센터장으로는 주재걸 KAIST AI대학원 교수, 하정우 네이버 AI연구소장이 임명됐다.
KAIST AI대학원 내 핵심 교수진도 다수 참여한다. 대표적인 참여 연구원인 주재걸, 신진우, 황성주, 양은호, 최재식 교수는 최근 ICLR, NeurIPS, ICML, CVPR, ACL 등 세계 최고 AI 학회에서 상당수 성과를 보인 바 있다.
이들은 네이버의 연구원들과 함께 공동연구센터라는 한 공간에서 긴밀히 소통하며 연구를 수행하게 된다.
연구 인프라에 대해서는 네이버가 보유한 하드웨어 인프라와 데이터를 공동연구센터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논의 과정에 있다.
네이버는 영상, 웹툰 등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방대한 양의 콘텐츠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다. 고품질 콘텐츠 생성을 위한 제작 기술도 개발 중이다.
이번 협약으로 네이버와 KAIST 간 AI 인력 공유도 활발해진다. KAIST는 네이버 연구진이 겸직 교수로 일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네이버에서는 KAIST AI대학원생들에게 인턴십과 산학협력 파견 기회를 적극 제공한다.
최인혁 네이버 COO는 “AI 기술 연구와 인재 양성에 이르는 넓은 협력 범위부터 공동연구센터 설립이라는 밀착 협력 방식까지, 이번 협약으로 네이버와 KAIST는 선진적인 산학협력 모델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번 협약을 통해 초대규모 AI뿐 아니라 도전적이고 새로운 기술로 알려진 창의적 AI를 연구하겠다. 네이버와 KAIST의 연구 역량이 한 단계 더 도약함은 물론, 국내 AI 기술 경쟁력 향상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송 KAIST AI대학원장은 "이번 네이버와의 새로운 형태의 산학협력 모델을 통해, 세계가 놀랄 만한 수준의 임팩트 있는 연구성과를 만들겠다. 구글, 페이스북, 스탠퍼드대, 버클리대 등 최신 AI 기술을 선도하는 유수 기관들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는 발판을 만들 것"이라고 전했다.
AI타임스 박성은 기자 sage@aitimes.com
- 카이스트 AI대학원 연구인턴 모집 30일 마감
- 구글 I/O 개막, 버텍스AI·람다·멈 공개‥ 진보한 AI 선보여
- LG AI연구원, 초거대 AI 개발에 1억달러 투입...올 하반기 공개
- 네이버, 국내 최초 '한국어 초거대 AI 언어 모델' 검색 서비스에 상용화
- 네이버-서울대, 공동 AI 연구센터 설립..."초대규모 AI 개발하겠다"
- 딥마인드, 구글에 AI 기술 자율권 요구했다 최종 실패한 사연은?
- 정송 KAIST AI대학원장 “초거대AI 언어모델 다음은 강화학습 시대”
- [기획연재]⑪ 특수대학원에서 빠르게 실무중심 AI 지식 습득...국민대 이상환 소프트웨어융합대학원장
- 네이버 "초대규모 AI 다음은 신뢰 가능한 AI"...독일 튀빙겐대와 협약
- KAIST-ETRI, '2021 국제 양자내성암호 학술대회' 20일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