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지 위에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해 농업과 신재생에너지 생산을 병행하는 영농형 태양광의 실증사례 발표회가 오는 19·20일 영남대학교와 오창농협에서 열린다. 영농형 태양광 하부 생육 환경과 작물별 수확량을 확인할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발표회는 '소형 영농형 햇빛발전 입법 추진협의회'가 주최하고 오창농협, 영남대학교, 한국영농형태양광협회가 주관을 맡았다. 발표회는 100kW 미만 소형 영농형태양광 국내 실증 현황과 관련 제도 제정의 필요성을 알리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에는 농림축산식품부, 영남대학교, 단국대학교, 녹색에너지연구원 등 전국 각 기관들의 연구진이 참석해 그간 실증사례 결과에 대해 소개할 예정이다.
행사가 끝난 후 영남대학교와 오창농협이 연구하는 실증단지 견학도 이어진다. 이번 발표회에서는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재생에너지팀이 영농형 태양광 재배모델 실증지원 추진 현황을 발표한다. 이어 농식품부 국책연구과제 총괄책임자인 정재학 영남대학교 교수가 발제자로 나서 국내 43개 지역의 영농형 햇빛발전 설치형태, 작황 감수와 증가 결과 등을 종합 분석한 내용과 표준화 방향을 제시한다.
이어 윤성탁 단국대학교 교수는 대표적인 식량 작물인 벼, 감자 등과 배추 등의 채소류 재배 실증결과를 소개할 예정이다. 임철현 녹색에너지연구원 박사는 영농형 태양광 하부 과수별 품질 분석결과에 대해 발표한다. 임 박사는 발표에 앞서 "녹차가 얼어서 빚어진 피해(동해)를 20% 이상 막아주고, 생산량도 90% 이상 증가하는 놀라운 효과를 보였다"고 밝혔다.
이번 실증사례 발표회를 통해 주최 측은 영농형태양광이 ▲농지 보존 ▲영농 지속 ▲탄소 중립 등 다양한 측면에서 큰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을 명확히 보여주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한편 오는 25일에는 소형 영농형태양광 보급을 위한 국내 정책과 제도 점검하는 토론회가 개최된다. 내달 8일에는 100kW 미만 소형 영농형 태양광을 실제 운영하는 현장 농민과 단체 관계자들의 생생한 육성 청취하는 간담회도 이어질 예정이다.
AI타임스 유형동 기자 yhd@aitimes.com
[관련 기사] [기고] 영농형 태양광, 농촌 풍요롭게 하는 비닐하우스로 삼자!
[관련 기사] '10만 농민'이 100kW씩 영농형 태양광을 설치한다면…"에너지 전환 속도내고, 농민 소득도 높아질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