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이하 한전)이 인공지능(AI)으로 에너지 효율화 서비스 제공에 나선다. 한전은 24일 용인 삼성디지털프라자 구성점에서 삼성전자 및 피에스텍과 아파트 '에너지 마이데이터' 활용사업 컨소시엄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아파트 세대별 에너지 사용 정보를 활용해 에너지 절감에 기여하겠다는 방침이다.
한전의 '에너지 마이데이터', 민간기업과 공유해 디지털 서비스 진행
한전은 일반주택을 대상으로 지능형전력망 구축사업을 통해 전력데이터를 수집하여 인터넷 및 모바일로 실시간 사용량 및 요금을 조회할 수 있는 서비스를 이미 제공하고 이러한 전력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기업들과도 공유하고 있었다. 해당 사업을 통해 에너지효율화 서비스의 사각지대였던 아파트 고객을 대상으로 세대별 '에너지 마이데이터(아파트 개별세대 전기, 가스, 수도, 열 등 에너지 사용정보)'를 수집하고 아파트 고객들에게 실시간으로 에너지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한전은 이번 삼성전자 등 가전업체와의 업무협약을 통해 모바일로 가전기기를 조작하고 합리적으로 전기를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서비스를 추가로 제공할 계획이다. 이와 더불어 수집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자동 이사정산 및 1인 가구 안부살핌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민간기업과 에너지 마이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 서비스를 개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삼성전자, 가전기기 자동제어 통한 에너지 절약 서비스 제공
한전과 업무협약을 체결한 삼성전자는 'SmartThings Energy' 스마트폰 앱을 통해 에어컨, 공기청정기 등을 절전 모드로 자동 제어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피에스텍은 직접 에너지 마이데이터를 수집하게된다.
한편 김숙철 한전 기술혁신본부장은 “이번 시범사업을 통하여 에너지 마이데이터의 수집 및 공유에 대한 표준을 마련하고 이를 활용하여 다양한 에너지 효율화 서비스를 개발하겠다”며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은 가장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탄소감축 수단이며 이번 업무 협약은 에너지 마이데이터의 중요성과 시급성을 인식하는 계기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AI타임스 나호정 기자 hojeong9983@daum.net
- AI로 산업재해 신속 대처…한전KDN, 'AI 영상분석시스템' 구축
- '데이터와 플랫폼의 만남' 2022 에너지 ICT 리더십 포럼 21일 열린다
- 한전KPS, 지역 학교 디지털 격차 해소 돕는다
- 한전KDN, 지역대학 강의로 전력IT인재 육성에 수년째 기여
- 12만평 캠퍼스에 달랑 4층짜리 건물 하나…올해 입학생들만 총대멨다
- "열에 강하다" 중앙대-한솔케미칼, 고방열·열충격에 강한 소재 개발
- [인터뷰] 한상철 한국에너지공대 기획처장, "단계별 캠퍼스 구축 통해 교육의 질 향상시킬 것"
- 메타버스로 회사 경영 공유하는 한전KDN
- 한전, 송전망 접속 여유정보 공개…전력수요와 신재생에너지 지역 분산화 유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