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품에 휴대폰을 대기만 해도 내부를 볼 수 있는 증강현실(AR) 기술이 나왔다. 향후 박물관이나 과학관 등에서 진행하는 어린이 체험 교육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이광형)은 이우훈 산업디자인 교수 연구팀과 이기혁 전산학부 교수 연구팀이 사물 내부 정보를 볼 수 있는 새 증강현실 장치 ‘원더스코프(WonderScope)’를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원더스코프는 사물 표면에 붙은 작은 RFID(전자 태깅 기술)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태그, 정확하게 보여주는 장치다.
스마트폰에 장착, 블루투스로 연결하는 직경 5cm, 높이 4.5cm의 작은 원통형 모양으로,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과 스마트워치, 태블릿과 연동해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위치 인식이 뛰어나 정확한 정보를 전달한다는 게 장점이다. 광학적 변위 센서와 가속도 센서를 기반으로, 움직이는 스마트폰 위치까지 계산한다. 종이, 돌, 나무, 아크릴, 유릴 등 다양한 재질은 물론 요철이나 물리적 패턴이 있는 표면에서도 안정적 위치 인식이 가능하다. 표면에서 4cm 떨어진 범위에서도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간단하다는 게 장점이다. 스마트폰에 원더스코프를 장착한 뒤 블루투스로 연결해 앱을 켜기만 하면 된다.
전시물 내부를 보여주기 위해서는 별도의 인식 장치를 추가 설치하는 게 보통이다. 이 경우, 외관이 복잡해지거나 전시물을 훼손하는 문제가 생긴다. 반면 원더스코프는 간편한 방식으로 AR 체험이 가능, 향후 박물관이나 과학관 등에서 진행하는 어린이 체험 교육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과학관 전시물에 RFID 태그를 부착하거나 내장하면, 관람객이 스마트폰으로 증강현실 효과를 쉽게 체험할 수 있다.
이우훈 KAIST 산업디자인학과 교수는 "원더스코프는 교육은 물론 상업 전시에서도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며 "어린이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인터랙티브 교구로도 기대한다"고 전했다.
김미정 기자 kimj7521@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