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소사이어티’ 창립총회에서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과기정통부)
‘디지털 소사이어티’ 창립총회에서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과기정통부)

집단지성으로 새로운 디지털 질서를 모색하는 '디지털 소사이어티'가 출범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는 28일 국회와 정부 관계자 및 디지털 분야 주요 단체와 산학연 전문가 60여명이 창립회원으로 참석한 가운데 웨스틴 조선 서울호텔에서 ‘디지털 소사이어티’ 창립총회를 개최했다고 발표했다.

디지털사회 전환을 촉진하고 디지털경제 융합 확산 및 디지털 신문화 형성에 기여할 디지털 소사이어티는 ▲주요 의제를 발굴하고 사회 담론 형성에 핵심 역할을 하는 ‘라운드테이블’ ▲분야별 이슈 발굴과 해법을 모색하는 ‘전문위원회’ 등을 운영한다.

초대 회장은 노준형 정보통신기술 대연합 회장이 맡았다. 노 회장은 "디지털 대전환에 따른 변화와 파급효과를 예측하고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며 "디지털 혁신과 인간 중심의 디지털 사회문화 시스템 설계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또 더글러스 러쉬코프 뉴욕대 교수는 ‘디지털 전환과 미래’를 주제로 한 기조연설에서 "디지털 기술을 위한 사회 최적화가 아닌 사회 발전을 위해 디지털 기술을 최적화해 나가야 한다"며 "공정하고 지속 가능한 디지털 사회를 만들기 위해 경제, 문화, 정치적 환경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미정 기자 kimj7521@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