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KISTI)
(사진=KISTI)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원장 김재수)은 양자암호통신 기술 및 구축 동향을 파악하고 분석, 국가과학데이터 양자암호 인프라 전환 방안과 국가과학기술연구망 양자암호통신 구축전략 제언을 담은 'KISTI 이슈브리프'를 발간했다고 3일 밝혔다.

KISTI는 "양자컴퓨터와 같은 새로운 컴퓨팅자원 및 알고리즘 등의 기술이 등장하면서 보안 취약성이 더 높아져 국가별 양자컴퓨터 및 양자암호기술에 투자하는 비율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라며 "양자키분배(QKD) 기술을 이용한 안전한 양자암호통신을 구축하고 서비스하기 위한 노력이 추진되고 있다"고 이슈브리프 내용을 소개했다.
 
또 KISTI는 국가 연구데이터를 물리적 기반의 양자암호기술을 이용해 안전하게 전송·공유할 수 있는 차세대 국가연구망을 구축하기 위한 양자암호통신 주요 기술 및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더불어 국가대형연구시설장비 등 주요 국가시설물에서 생성된 국가과학데이터의 안전 보안·통신을 위해 양자암호 인프라 도입 방안을 수립하고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재수 KISTI 원장은 “국가과학 데이터를 장기간 보호하기 위한 양자암호 인프라·서비스 구축을 추진하고 출연연에 시범 적용함으로써 포스트 퀀텀 시대에 주요한 국가 데이터를 선제적으로 보호하겠다”라고 밝혔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