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로봇 물류 실증 사업을 본격 추진하기 위해 로봇 주무관 제1호 '로보관'을 임명했다고 22일 밝혔다.
로보관은 이달 말부터 업무에 투입, 서울시 본청을 누비며 공공문서(소포) 배달, 민원인 안내 등 행정업무를 지원한다. 서울은 로보관이 정식으로 행정지원의 임무를 수행하는 만큼 공무원으로 지정하고, 임시공무원증도 수여할 계획이다.
서울은 지난 4월 보조사업자 선발, 5월 보안 평가를 거쳐 7월부터 기술점검 및 통신·관제 운영체계 구축에 돌입했으며 10월 전용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완료하고 11월 로봇의 경로 학습까지 마쳤다.
상반기 공개모집을 통해 선발된 로보티즈(대표 김병수)가 로봇을 제작·제공하고, 서울은 테스트베드를 제공하는 형식이다. 로보티즈는 2019년 규제샌드박스(실외자율로봇) 전국 1호로 실증특례를 받았으며 로봇기술을 자체적으로 개발·생산하는 국내 대표 로봇기업이다.
이번 사업은 로봇이 스스로 엘리베이터를 타고 각 층 곳곳을 이동하는 것이 특징이다. 엘리베이터 혼잡도를 고려해 전용 엘리베이터를 지정해 오전 10시부터 운행하고, 장소는 본청 7층을 시작으로 추후 전체로 확대한다.
로보관의 근무시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다 오전은 부서간 문서이동업무를 지원하고, 오후는 민원인 안내 및 정기 우편물 배송을 맡는다.
서울은 올해 말까지 1차 실증을 진행한 뒤 내년 기간을 연장할 예정이다. 안전문제, 돌발상황 대응을 위해 안내요원이 상시 동행한다. 야간순찰 등 로봇 적용분야 확대가능성을 검토하고, 시행착오를 보완할 계획이다.
서울 측은 "관공서 내 단순 안내기능을 넘어 물류로봇을 도입하는 국내 첫 사례로서, 로봇기술의 적용대상을 공공행정 분야로 확대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며 "행정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백 호 서울시 도시교통실장은 “공공분야에 있어 로봇기술은 시설안전 및 청사보안 등을 위한 각종 규제로 인하여 민간분야에 비해 기술활용도가 낮은 것이 현실”이라며 “이러한 제약을 딛고 충분한 준비과정을 거쳐 도입된 로보관을 통해 물류 로봇의 활용가능성을 검증하고 개선점들을 찾아 기술발전을 앞당기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 아카에이아이, 경북 한일여중에 AI 학습 로봇 공급
- KT에스테이트, 배송로봇·AI셰프 도입..."부동산 DX 트렌드 만든다"
- 카트켄, 배달 로봇에 레벨4 수준 자율주행 기능 탑재
- LG전자, 로봇으로 약품·도구 배달..."의료 로봇 서비스 강화"
- 현대모비스, 자율주행 이동형·물류로봇 시범 운영
- [CES2023] 서울시, 메인 전시관에 '서울기술관' 운영..모빌리티·친환경 기술 선보여
- 국회 1호 AI 로봇 공무원 임용...박물관 참관해설사 발령
- 서울시, AI·메타버스 총동원해 디지털 행정서비스…3703억원 투입
- 서울시 공공서비스, AI로 똑똑하게 바꾼다...'생성 AI 해커톤’ 개최
- 로보티즈 “배송로봇에 '팔' 붙였더니 활용도 증가...서비스로봇 사업 확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