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CNS 모바일 사원증 '띠딧' 관련 이미지 (사진=LG CNS)
LG CNS 모바일 사원증 '띠딧' 관련 이미지 (사진=LG CNS)

DX전문기업 LG CNS(대표 현신균)가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 모바일 사원증 ‘띠딧’을 공식 출시하고 사내 임직원 대상 서비스를 시작했다고 13일 밝혔다.

LG CNS는 사내 모든 게이트 출입을 비롯해 식당·카페 결제, 피트니스 출입 등 신원증명이 필요한 곳에서 스마트폰으로 인증이 가능, 띠딧이 기존 플라스틱 카드 형태 사원증 기능을 모두 대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복합기 사용, 통근버스 탑승과 각종 증명서 발급, 전자계약 서명 기능도 곧 추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모바일 사원증에는 블록체인 '탈중앙화 아이디(DID)' 기술을 적용했다. DID는 ‘내 정보는 내가 주도적으로 관리한다’는 자기주권 신원증명 개념을 구현해 개인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모바일 인증 기술이다.

공인인증서 등 개인정보를 제3기관의 중앙 서버에 저장하는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스마트폰 등 개인의 기기에 정보를 분산해 관리하는 것이 특징이다. 정보 소유권을 개인에게 돌려준다는 탈중앙화 기본 개념을 반영했다.

따라서 모바일 사원증 사용자는 자신의 신원정보를 스마트폰에 직접 소유한다. 신원증명이 필요한 서비스 이용 시 필수 정보만 제공해 인증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출입의 경우 모바일 사원증에 담긴 사원번호,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이메일, 사진, 월급계좌와 연계된 카드ID 등 여러 정보 중에 사원번호만 제공, LG CNS 직원이 맞는지 여부만 확인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DID 기술이 적용된 모든 모바일 신분증에서 활용 가능하며, 해킹이나 개인정보 유출은 이론적으로 불가능하다. 스마트폰 분실 시에는 신고를 통해 모든 권한을 중지할 수 있다. 

배민 LG CNS 상무는 "띠딧을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신원증명 서비스로 확대해 개인에게 정보 관리·활용 권한을 보장하면서도 생활의 편리성을 높이는 다양한 서비스로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LG CNS는 DID 기술을 적용해 행정안전부 발행 ‘모바일 운전면허증’ 구축을 올해 7월 완료했다. 모바일 운전면허증은 현재까지 국가가 공식 발행하는 유일한 모바일 신분증으로 관공서나 금융기관 등에서 신원 증명이 가능하다.

이성관 기자 busylife12@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