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X 전문 LG CNS(대표 현신균)는 미국의 글로벌 기업 하니웰과 최근 스마트팩토리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국내외 스마트팩토리 구축 협업확대 ▲생산 공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설비를 원격 제어하는 OT(운영기술) 보안 강화 등에 나선다.
양사의 스마트팩토리 플랫폼 및 솔루션을 패키지 형태로 결합, 기업에 제공한다. 이를 위해 20여년의 스마트팩토리 구축 노하우가 담긴 LG CNS의 ‘팩토바’ 플랫폼에 과거 데이터를 토대로 최적의 생산 프로세스를 만드는 ‘생산최적화 솔루션’, 설비의 운전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통제할 수 있는 ‘DCS(분산제어 시스템)’ 등 하니웰의 공정제어솔루션을 결합한다.
또 스마트팩토리를 위한 보안통합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한다. 여기에는 인공지능(AI) 기반 위협 탐지 기술 및 통합 위협 탐지 및 대응 서비스(MDR)도 연계한다. 이를 통해 기업은 공장내 가스 유출, 화재 발생 등 긴급상황 발생 여부를 파악해 사고를 방지하고,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LG CNS는 오픈 이노베이션으로 스마트팩토리 사업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경희대와는 5G특화망 기반 ‘스마트팩토리 예지보전 솔루션’을 개발 중이다. 글로벌 3D플랫폼 기업인 유니티와는 스마트팩토리의 최상위 단계인 ‘버추얼 팩토리’를 고도화하고 있다
미국 뉴욕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하니웰은 공장자동화, 우주항공, 빌딩제어, 생산 솔루션 등의 사업 영역을 갖추고 있다. 포춘지의 100대 소프트웨어 기업에 선정된 기업이다.
이진규 LG CNS 스마트팩토리 사업부 전무는 “이번 협업을 통해 양사의 공동 오퍼링을 고도화해 국내뿐 아니라 미국 등 해외 시장에서의 스마트팩토리 구축 사업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 LG CNS, MS와 손잡고 '챗GPT' 기술로 신규 서비스 개발한다
- LG CNS, AI·빅데이터 기반 디지털 마케팅 본격화
- LG CNS, 블록체인 기술 적용 ‘모바일 사원증’ 출시
- 미소정보기술 "데이터 기술로 2025년 매출 1000억 목표"
- 글라우드-덴티움, 파트너십 체결...디지털 치과 진료 목표
- 퀀팃-서울대 공과대학, 금융 투자모델 연구 프로그램 제휴
- LG CNS ‘로봇 통합운영 플랫폼’ 개발
- LG CNS, 생성 AI·클라우드 경력직 세자릿수 채용
- LG CNS, 미래엔과 ‘AI 디지털교과서’ 플랫폼 구축
- LG CNS, ‘스타트업 몬스터’ 6기 선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