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 반도체 패키징 연구실 김정호 교수 연구팀. 안승영 조천식모빌리티대학원 교수(왼쪽부터), 김경민 신소재공학과 교수, 김정호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사진=KAIST)
시스템 반도체 패키징 연구실 김정호 교수 연구팀. 안승영 조천식모빌리티대학원 교수(왼쪽부터), 김경민 신소재공학과 교수, 김정호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사진=KAIST)

한국과학기술원(KAIST, 총장 이광형)가 ‘초세대 협업연구실’을 추가 개소하고 11일 오전 현판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초세대 협업연구실’은 은퇴를 앞둔 교수가 오랜 시간 축적해온 학문의 성과와 노하우를 이어가기 위해 후배 교수와 협업하는 KAIST의 독자적인 연구제도다.

KAIST는 2018년 초세대 협업연구실 제도를 처음 도입한 이후 7개의 연구실을 선정했으며, 지난해 말 김정호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의 ‘KAIST 시스템반도체 패키징 연구실’과 장석복 화학과 교수의 ‘유기반응 및 합성연구실’을 추가로 선정했다.

김정호 교수가 책임교수를 맡은 ‘KAIST 시스템반도체 패키징 연구실’에는 안승영 조천식모빌리티대학원 교수와 김경민 신소재공학과 교수가 참여교수로 협업한다. 김정호 책임교수는 고성능 반도체 설계 및 인공지능 공학 설계(AI-X) 분야의 대표적인 석학으로, 5I(시스템반도체 패키징 분야의 융합 설계기술) 융합설계 원천기술을 유일하게 보유하고 있다. 

김정호 책임교수는 “우리나라가 진정한 반도체 강국으로 자리 잡기 위해 꼭 필요한 시스템반도체 패키징 분야에 특화된 연구를 실현해 국내 반도체 산업의 초격차 경쟁력 제고에도 힘을 보탤 것”이라고 말했다. 

안승영 참여교수는 자율주행 자동차, 드론, 위성, 국방, 초소형 의료기기 등 다양한 시스템에 적용되는 초고속 반도체 집적회로 패키징과 시스템의 전자파 간섭 및 전자파 적합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해왔다. 김경민 참여교수는 자연과학, 재료공학, 전자공학을 기반으로 인간의 신체를 모방한 시스템반도체용 저항성 메모리 연구 분야에서 경력을 쌓았으며, 최근에는 AI 반도체 소자 패키지 분야를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이들은 세대 간의 연구 협력을 통해 ‘시스템반도체 패키징’ 기술을 심화·발전시켜 나갈 예정이다. 이를 기초로 국내 시스템반도체 산업 경쟁력을 한 단계 높이는 것이 목표다.

유기반응 및 합성연구실 장석복 교수 연구팀. 박윤수(왼쪽부터), 장석복, 한순규 화학과 교수 (사진=KAIST)
유기반응 및 합성연구실 장석복 교수 연구팀. 박윤수(왼쪽부터), 장석복, 한순규 화학과 교수 (사진=KAIST)

신규 선정된 ‘유기반응 및 합성연구실’ 책임을 맡은 장석복 교수는 “다양한 시행착오를 거치며 일군 연구실 시스템을 후속 세대가 디딤돌로 삼을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있었는데, 이번에 설립되는 초세대 협업연구실을 통해 유기합성 분야의 중요하고 파급력 있는 문제를 창의적으로 풀어나가기를 희망한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한편 11일 열린 `초세대 협업연구실' 현판식에는 이상엽 연구부총장, 김경수 기획처장, 조광현 연구처장, 이동만 공과대학장 등 주요 보직자들과 새롭게 선정된 연구실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