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대표 유영상)이 로봇에 부착해 화재 감시 등 다양한 용도로 로봇의 쓰임새를 확장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제품을 개발했다.
SKT는 비전 AI 기술로 로봇의 움직임을 제어하고 AI로 영상을 실시간 분석해 고객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AI로봇키트’를 출시했다고 20일 밝혔다.
키트는 로봇에 부착하는 형태로 컴퓨터와 전후방 카메라, 5G모뎀, 스피커, 마이크 등으로 구성된 직사각형 박스 형태로 제작됐다. 카메라의 영상을 고화질로 전송해 AI 영상분석에 따른 로봇의 임무 수행과 원격 제어를 지원한다.
SKT는 AI로봇키트의 장점으로 우선 소형 키트 제품으로 기존 로봇에 장착해 관리자가 식별할 수 있는 수준의 풀 HD급 고화질 AI 영상분석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을 들었다. 국내에서 인기 있는 유니트리 로봇을 사용했으며, 그 외 소프트웨어 개발키트(SDK)를 제공하는 타사 로봇들도 요청에 따라 연동할 계획이다.
또 유명 로봇 패키지 대비 5분의 1 수준으로 가성비가 높다고 전했다. 해외 유명 제품의 경우 로봇과 소프트웨어를 합쳐 대당 2억원 이상이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AI로봇키트의 경우 4000만원 이내에 구매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더불어 기존 보행로봇을 화재 예방, 유해가스 감지, 실내공간 3D 측정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하나의 영상관제 시스템에서 드론과 로봇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로봇도 동시에 제어 가능하다는 점도 장점으로 꼽았다.
SKT는 AI로봇키트와 유니트리 로봇 패키지를 23일부터 3일간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드론쇼 코리아 2023’에서 첫 공개할 계획이다. 이번 AI로봇키트 출시로 매년 2배 이상의 매출 성장을 기대하고 있다. 다양한 프로모션과 경쟁력 있는 가격 정책을 통해 로봇키트 보급 확대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SKT는 지난해부터 AI 기반의 로봇 관련 사업을 본격 추진 중이다. 커피로봇을 출시했으며, 물류 분야에서 이적재 로봇사업을 진행 중이다. 다양한 사업 협력을 통해 향후 5년내에 국내 커피로봇 시장에서 선두로 올라선다는 계획이다.
최낙훈 SKT 인더스트리 AIX CO 담당은 “기업에서 필요로 하지만 로봇제조사는 대응하기 어려운 AI 기반의 응용 솔루션과 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해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SKT 로봇사업의 지향점”이라며 “개인은 물론 기업 고객들의 편의와 생산성을 높여주고 즐거운 경험까지 할 수 있는 다양한 로봇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 SKT, AI바리스타로봇 출시...커피로봇 대중화 이끈다
- 중국이 로봇으로 인력 대체한다고?
- LG전자, 도서관 맞춤형 클로이 로봇 공급
- 진화한 로봇 '아틀라스'...이젠 '손'까지 쓴다
- SKT, 차세대 ‘양자암호원칩’ 출시...고성능 암호통신 기능 제공
- SKT, MWC23서 AI·UAM·6G 등 미래 ICT 기술 전시
- SKT, 퀄컴·인티그리트와 ‘개방형 로보틱스 데이터 플랫폼’ 개발 협력
- 첨단로봇 산업 육성 전략 3월 발표...산업부, 전략 협의체 발족
- ‘드론을 통해 마주할 미래’...2023 드론쇼 코리아 개막
- 축구하는 4족 보행 로봇 등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