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의 도서관 맞춤형 '클로이 로봇' (사진=LG전자)
LG전자의 도서관 맞춤형 '클로이 로봇' (사진=LG전자)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는 분당 두산타워에서 '첨단로봇 전략 얼라이언스' 킥 오프 회의를 개최, 업계로부터 규제 혁신 등에 대한 의견을 청취했다고 21일 밝혔다.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을 비롯해 두산로보틱스, LG전자, KT, 뉴로메카, 로보티즈, 코모텍 등 업계가 참석한 이날 회의는 3월 중 발표할 '첨단로봇 산업 전략 1.0' 마련을 위해 민관간 협의를 강화하고 로봇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실천적인 전략을 논의하기 위한 자리다. 로봇 업계의 애로점과 정부 차원의 건의 사항에 대한 논의도 같이 진행됐다.

장영진 산업부 1차관은 “로봇은 인공지능(AI), 5G, 첨단 반도체 등 신기술이 집약된 기반 기술로, 산업현장에서 로봇의 활용은 산업 전반의 생산성을 높이고 심각한 인력난 해소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산업재해를 줄이는 유효한 대응 수단으로 1석 3조의 효과를 가진다”며 로봇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했다.

회의에 참석한 관계자들은 관련 법령 미비 및 미진한 국내 수요, 부족한 전문인력 등을 애로사항으로 제기했다. 특히 자율주행로봇을 활용한 서비스 사업이 규제로 인해 지연되는 문제를 제기했다.

이에 장영진 차관은 “이번 전략에는 국내 로봇기업의 제조역량 강화, 3D 업종에 대한 로봇 보급확대, 국가 로봇테스트필드 구축 등을 담을 계획이며, 3월 중 로봇업계 수요를 반영한 '로봇 규제혁신 로드맵 2.0'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