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데이터셋 구축하고 정부 전용 초거대 AI 도입 계획...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과기정통부 등과 디지털경제 가속화 계획 발표

(사진=과기정통부)
(사진=과기정통부)

정부가 민간의 초거대 인공지능(AI) 개발 및 고도화를 지원한다. 또 정부 전용 초거대 AI를 도입해 대국민 서비스 질을 제고하기로 했다.

대통령 직속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위원장 고진)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개인정보보호위원회(위원장 고학수) 등은 14일 '디지털플랫폼정부 실현계획 보고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한 초거대 AI 경쟁력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똑똑한 인공지능, 국민과 함께 디지털 경제를 가속화 하겠다'는 비전 아래 한국어를 사용하는 초거대 AI플랫폼을 육성해 글로벌 시장을 공략하고 초거대 AI 응용서비스를 활용한 기업간 협력 생태계를 조성해 전문분야 세계 1위에 도전한다는 목표를 담았다. 

추진전략으로는 ▲초거대AI 기술ㆍ산업 핵심 인프라 확충 ▲초거대 AI 혁신 생태계 조성 ▲범국가 AI 혁신 제도ㆍ문화 정착을 내세웠다.

이를 위해 과기정통부는 우선 초거대 AI 학습을 위한 대규모 데이터 축적에 나설 계획이다. 산업계 수요가 가장 많은 부분이다.

오는 2027년까지 초거대 AI 한국어 성능 향상을 위해 고품질 말뭉치와 한국어 응용말뭉치 130종을 갖추기로 했다. 또 분야별 특화 학습용 데이터와 비영어권 시장 공략을 위해 200종(책 15만권 분량)의 동남아・중동 등 해외 언어 데이터도 구축한다.

초거대 AI 한계를 돌파할 핵심 기술 개발에도 힘을 실어주기로 했다.

2026년까지 2655억원 투입해 '최신 정보 미반영'과 '거짓 답변' 등 초거대 AI의 활용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 개발을 지원한다. 논리적 리즈닝(인과관계 이해), 편향성 필터링, 모델 경량화・최적화 등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 등에 집중할 계획이다.

초거대 AI 컴퓨팅 인프라 기술 개발과 대용량 컴퓨팅 자원 제공에도 나선다.

초거대 AI 개발・운영에 필요한 컴퓨팅 자원을 지원하기 위해 국산 AI 반도체 기반의 고성능・저전력 K-클라우드를 초거대 AI가 활용할 수 있도록 AI반도체 SW 및 데이터 가속처리 HW 등을 개발・실증하기로 했다.

중소・벤처기업 및 대학・연구소 등을 대상으로 컴퓨팅 자원 용량을 기존 TF(테라플롭스, 초당 1조번의 연산 처리 속도)급에서 PF(페타플롭스, 초당 1000조번의 연산 처리 속도)급으로 확대해 제공한다.

이 밖에도 법률, 의료, 심리상담, 문화・예술, 학술・연구 등 민간 전문영역에 초거대 AI를 접목해 전문가의 업무를 보조하는 ‘초거대 AI 5대 플래그십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행정・공공기관의 내무업무 및 대민서비스 등을 효율화하는 초거대 AI 응용서비스를 개발・실증할 계획이다.

▲‘초거대 AI 협의회’ 구성・운영 ▲전문인재 양성 및 초거대 AI 리터러시 강화 ▲범국가 AI 혁신 제도・문화 정착 등도 진행한다. 특히 인공지능 법제정비단 운영을 통해 초거대 AI 규제개선 과제를 발굴해 개선방향을 도출하고, 관계부처와 함께 개인정보, 지식재산권 등 기존 제도를 정비해 나갈 계획이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초거대 AI 역량이 곧 개인, 기업, 국가의 경쟁력을 좌우하게 될 것"이라며 "우리 기업의 독자적 초거대 AI 플랫폼을 기반으로 초거대 AI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면서 미래 전략산업으로 육성하고, 똑똑한 인공지능으로 국민과 함께 디지털 경제를 가속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사진=과기정통부)
(사진=과기정통부)

이와함께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오는 6월까지 데이터 수집과 머신러닝, 서비스 제공 등 AI 전 과정에서 지켜야 할 보호원칙과 데이터 처리기준을 제시하는 ‘AI 데이터 안전 활용 정책방향’을 수립한다.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는 초거대 AI를 통해 디지털 행정혁신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정부 전용 초거대 AI를 도입하는 2026년에는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모든 정부 서비스를 연계・통합해 국민이 한 곳에서 모든 일 처리를 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목표다.

이를 통해 첨부서류 제로화를 실현, 연간 2조원의 비용과 시간을 절감하고 공공 부문 종이 사용량을 50% 감축할 계획이다.

또 정부 서비스 혁신을 위해 민간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W) 활용이 가능한 분야는 우선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2026년까지 1만개의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기업을 육성하는 방안도 마련했다.

이밖에 AI가 개인 상황에 맞춰 서비스를 미리 알려주고 추천해주는 국민 맞춤형 ‘혜택 알리미’ 서비스 1021종도 구현할 방침이다.

고진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위원장은 "디지털플랫폼정부는 인공지능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부와 민간이 긴밀하게 협력해 세계적인 모범사례를 만들어 나가는 희망차고 담대한 도전"이라면서 "세계에서 가장 역동적인 나라, 인공지능으로 24시간 똑똑하게 봉사하는 정부, 국민과 기업이 더 크게 도약하는 미래를 대한민국 디지털플랫폼정부가 만들겠다"고 다짐했다.

AI타임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키워드 관련기사
  • 정부, 3월 중 초거대 AI 경쟁력 강화 정책 발표
  • 과기정통부, 100명 동시 연구가능한 AI 컴퓨팅 센터 마련
  • 정부, 차세대 AI 개발에 2600억 투입...'AI 10대 프로젝트'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