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 관계자들이 제3차 인공지능 최고위 전략대화에서 초거대 AI에 대해 토론을 나누고 있다. (사진=과기정통부)
민관 관계자들이 제3차 인공지능 최고위 전략대화에서 초거대 AI에 대해 토론을 나누고 있다. (사진=과기정통부)

정부가 이달중에 '챗GPT' 붐으로 관심이 높아진 초거대 인공지능(AI)의 국제 경쟁력 강화 대책을 발표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는 AI 분야 민관 최고위 관계자들과 함께 챗GPT 대응을 위한 초거대 AI 정책방향 관련 의견수렴을 위해 제3차 인공지능 최고위 전략대화를 개최, 이같은 계획을 발표했다고 8일 밝혔다.

이종호 장관은 “초거대 AI 분야는 글로벌 빅테크 기업이 챗GPT 같은 초거대 AI 서비스를 내놓고, 투자도 매우 큰 규모로 진행하고 있는 만큼 우리도 민관의 역량을 총결집해서 국가적 대응력을 높여야 한다”며 “회의 내용을 바탕으로 관계부처와 함께 3월 중 초거대 AI 산업 정책방향을 발표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더불어 고학수 개인정보위 위원장은 “개인정보위는 '개인정보 보호법' 개정 등을 통해 초거대 AI 산업발전을 위한 안전한 데이터 활용을 지원하는 한편 데이터 수집·이용 등 전 과정에서 프라이버시 침해 요인을 최소화해 신뢰 기반의 AI·데이터 선도국가로 도약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설명했다.

고진 디지털플랫폼정부위 위원장은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는 경제·사회문제의 해결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는 초거대 AI 기술을 도입해 복지·재난·민원 등 현안 해결에 활용하고, 더 나아가 공공업무의 디지털화, 초연결 디지털 트윈 구축 등을 통해 AI·데이터 산업 성장을 위한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에는 ▲백상엽 카카오 엔터프라이즈 대표가 ‘초거대 AI 동향 및 국내 경쟁력 강화방안 제언’을 ▲이세영 뤼튼테크놀로지스 대표가 ‘대·중·소 협력 초거대 AI 생태계 조성방안 제언’을 ▲최문정 KAIST 교수가 ‘챗GPT 등에 따른 사회적·문화적 영향력’을 각각 발표했다.

또 ▲초거대 AI 경쟁력 강화 및 산업생태계 조성 방안 ▲챗GPT 등 초거대 AI 확산에 따른 사회적・문화적 영향력 ▲인공지능 관련 규제 개선 및 윤리・신뢰성 제고 방안 등에 대해 논의가 이뤄졌다.

이종호 장관은 “초거대 AI는 정부가 그간 추진해온 데이터 구축·개방, 컴퓨팅 자원 제공, AI R&D 지원, AI 윤리·신뢰성 확보 등과 밀접하게 연관된 분야로 우리나라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기반이 됐다”며 “초거대 AI를 바탕으로 펼쳐지는 새로운 디지털 신질서의 모범이 되기 위하여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