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10대 핵심 프로젝트 (사진=국무총리실)
AI 10대 핵심 프로젝트 (사진=국무총리실)

정부가 챗GPT를 뛰어넘는 차세대 인공지능(AI) 개발을 위해 2655억원을 투입한다.

정부는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서울 강남구 하이퍼커넥트 본사에서 제2차 국가데이터정책위원회 회의를 열고 범정부 데이터산업 진흥 기본계획과 AI 일상화 계획 등을 확정했다고 26일 밝혔다.

정부는 AI가 언어・음성・시각 등 단일지능을 넘어 복합지능・초거대AI로 발전하고 차세대 AI 개발이 본격화되면서 새로운 글로벌 경쟁이 펼쳐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내에서는 AI 산업이 성장하고 있으며 AI 기술력도 최고 대비 89% 수준까지 도달했지만, 아직 기업현장과 국민생활 등에서 AI 활용은 초기 단계라고 지적했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2023년 7129억원 투입을 시작으로 'AI 10대 핵심 프로젝트'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여기에는 ▲2026년까지 2655억원을 투입해 딥러닝, 신뢰성부족 등 현재 AI 한계를 극복하는 차세대 AI를 개발하는 것을 포함해 ▲공공·산업 난제 해결을 위한 AI 개발(2023~2027년, 445억원) ▲NPU·PIM·첨단패키징(2023년 668억원) 등 AI 반도체 초격차 기술 확보안이 담겼다.

또 ▲신규 8대 분야 학습용데이터 구축·개방(2023년, 2805억원) ▲초거대 AI 모델 및 GPU 컴퓨팅 자원 등 AI 인프라 제공 ▲클라우드 기반의 AI 서비스(AIaaS) 개발 및 국내 AI 제품의 해외진출 지원 등이 포함됐다.

더불어 ▲세계 최고 수준의 AI 연구와 지역산업 난제 해결을 위한 AI 연구센터를 대학 내 구축(2024년)하고 ▲국산 AI 반도체를 기반으로 데이터센터를 구축해 안전·보건·교육·국방 등 4대 분야에 AI 서비스를 적용하는 ‘K-클라우드’ 프로젝트를 추진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이 밖에도 ▲누구나 디지털 혜택을 향유하기 위한 선언으로 ‘디지털 권리장전’을 마련하고, AI 산업육성 및 신뢰성 확보를 뒷받침하는 ‘인공지능기본법’ 제정을 지원한다. ▲AI 도입·확산에 대응해 법·제도·규제 정비 로드맵을 새롭게 수립하고 ▲‘인공지능 신뢰성 검인증 체계’, ‘인공지능 영향평가체계’를 마련해 AI 윤리·신뢰성 확보를 선도한다는 내용도 담았다. 

정부는 AI용 데이터에 대한 지원책을 담은 '제1차(2023~2025년) 데이터산업 진흥 기본계획'도 발표했다. 이는 우리 사회가 보유한 모든 데이터의 혁신적 생산·개방·공유를 추진, 신산업 창출에 필요한 데이터를 생산·제공한다는 등의 내용이다.

데이터 혁신 생태계 구축 안 (사진=국무총리실)
데이터 혁신 생태계 구축 안 (사진=국무총리실)

또 이날 회의에서는 고용행정 데이터 개방 확대방안과 통계등록부‘를 다양한 데이터와 융합해 정부·기업·개인의 의사결정에 적극 활용하겠다는 안도 발표됐다.

정부는 결정된 안건들을 국가데이터정책위원회를 중심으로 집중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또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공공데이터전략위원회’ 등 다른 위원회와 협업체계를 구축해 시너지를 낸다는 계획이다.

정책위 위원인 김혜주 롯데멤버스 CEO는 “오늘 상정·심의된 안건들이 차질 없이 추진돼 데이터·AI 기반 혁신 서비스들이 경제·사회·문화 전반에 향연하며 국민 누구나 디지털 혜택을 편리하고 공정하게 누리는 행복사회가 오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배경훈 LG AI연구원 원장은 “혁신적인 데이터 생태계 구축을 기반으로 우리나라 인공지능 경쟁력이 세계 최고가 되고, 다양한 데이터·AI 혁신기업들이 전세계로 뻗어나가기를 희망한다”라고 밝혔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