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이 전 세계 180개국에서 인공지능(AI) 챗봇 '바드'를 쓸 수 있도록 공개하면서도 유럽연합(EU)과 캐나다는 별다른 설명없이 제외해 배경에 관심이 모아진다.
아스테크니카는 13일(현지시간) 이탈리아 개인정보보호 당국이 한 때 '챗GPT'를 쓰지 못하도록 명령한 사례를 들어 서비스 제외 국가의 ‘일반정보보호 규정(GDPR)’이 문제가 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보도했다.
이탈리아의 독립적인 개인정보보호 기구인 ‘가란테’는 지난 3월 31일 '챗GPT'가 사용자와의 대화를 활용해 학습을 할 수 있는 근거가 없고, 연령을 확인하지 않기 때문에 미성년자가 해로운 내용에 노출될 수 있다면서 보완조치가 이뤄질 때까지 사용을 금지한다고 밝혔다.
가란테는 '챗GPT'가 투명성과 데이터 주체의 권리를 보장해야 하며 사용자 데이터로 알고리즘을 교육하는데 대한 법적 근거를 갖춰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런 지적은 EU에서 처음 도입된 GDPR을 토대로 한 것이다.
GDPR은 사용자에게 자신의 데이터와 관련한 권리를 보장하는 게 핵심 목적이다. 프로파일링과 같은 자동화된 이용을 거부할 뿐만 아니라 접근, 수정, 삭제, 처리와 이동 등에 대한 권리를 인정한다. AI 기업이 사용자의 이런 권리를 배제하면 벌금을 물린다. 이 규정은 세계 각국이 사정에 맞게 고쳐서 도입했지만 EU와 캐나다에 비해서는 느슨하다.
오픈 AI는 이탈리아 당국의 요구에 따라 챗GPT가 채팅 내용으로 학습하는 것을 사용자가 금지할 수 있도록 하고 처음 계정을 만들 때 연령을 확인해 18세 미만은 부모의 허락을 받도록 해 금지 조치를 풀었다.
구글도 이런 EU와 캐나다의 GDPR을 염두에 두고 이들 지역에서의 서비스를 일단 제외했을 것으로 풀이된다. 더구나 EU는 현재 AI를 규제하는 최초의 법인 ‘인공지능법(AI ACT)’의 제정을 앞두고 있기 때문에 이를 지켜본 뒤 보완조치를 통해 ‘바드’를 유럽지역과 캐나다에 내놓을 것으로 보인다.
정병일 기자 jbi@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