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셔터스톡)
(사진=셔터스톡)

이탈리아에서 개인정보보호 당국이 챗GPT의 사용을 금지했다. 부총리는 "과도한 조치"라고 지적했다.

로이터통신은 2일(현지시간) 이탈리아 개인정보보호 기구인 '가란테'가 지난달 31일  '사용자 연령을 확인할 수 없어 미성년자가 해로운 내용에 노출될 수 있다'는 이유로 챗GPT 사용을 금지했고, 오픈AI는 챗GPT 서비스를 중단했다고 보도했다.

가란테는 사용자 연령 확인 문제외에도 챗봇 훈련을 위해 활용한 대량의 개인정보 수집과 저장을 정당화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오픈 AI가 갖고 있지 못하다고 지적했다. 

이탈리아의 개인정보보호 관련 법규에 따르면 오픈AI는 20일 이내에 구제조치를 하지 않으면 최대 2000만유로(약 285억원) 또는 전 세계 연간 매출의 4%에 해당하는 벌금을 물 수 있다. 

챗GPT는 현재 중국 본토와 홍콩, 이란, 러시아 그리고 주민이 계정을 만들 수 없는 아프리카 일부 지역에서 사용할 수 없다. 서방국가로는 이탈리아가 처음 챗GPT 사용에 제동을 걸었다. 

하지만 이같은 조치에 대해 마테오 살비니 이탈리아 교통부 장관 겸 부총리가 인스타그램에 반대의사를 밝혀 논란이 일고 있다.

살비니 부총리는 인스타그램에 올린 글에서 “이탈리아에서 챗GPT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강제한 '프라이버시 감시견'의 결정은 불균형하다"면서 "규제기관의 움직임이 위선적이다. 개인 정보 문제는 모든 온라인 서비스와 관련되기 때문에 상식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정병일 위원 jbi@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