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세영 뤼튼 대표가 기자회견에서 인사말을 전하고 있다.
이세영 뤼튼 대표가 기자회견에서 인사말을 전하고 있다.

뤼튼테크놀로지스가 현재 사용자의 인터넷 첫 화면을 차지하는 포털 자리를 생성 인공지능(AI)이 대체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에 맞춰 '생성 AI의 포털'에 걸맞은 서비스를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이세영 뤼튼테크놀로지스 대표는 31일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오키드룸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이같은 내용을 밝히고 생성 AI의 대표 주자이자 '킬러 서비스'로 발돋움하겠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과거 인터넷 시대를 맞아 검색 포털과 같은 서비스가 대부분 첫 화면을 차지했었고, 모바일 시대에서는 SNS나 메신저들이 기존 포털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첫 화면을 차지했다”며 “생성 AI는 이미 검색을 일부 대체하는 등 어떤 형태로든 새로운 포털의 역할을 맡아가는 분위기"라고 설명했다. 

또 "뤼튼은 그것을 어떻게 준비할지 끊임없이 고민하고 노력하겠다"며 "킬러 서비스로 다양한 후보군이 있으나, 뤼튼의 방향성은 기본적으로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라고 전했다.

챗GPT가 등장한 이후 6개월 동안 국내 생성 AI 사용자도 많이 늘었다고 전했다. 그는 "최근 생성 AI에 대해 다양한 조사가 이뤄지고 있는데, 최근 조사에 따르면 국내에서는 최소 220만명 이상이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말했다.

하지만 "대부분은 챗GPT를 통해 생성 AI를 경험해 보는 수준"이라며 "뤼튼의 경우에도 재방문율을 높이는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다양한 제품군을 출시할 뜻을 비쳤다. 이 대표는 "생각보다 국내에는 생성 AI가 검색에 집중해 있을 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나온 편이 아니다"라며 "뤼튼은 최근 개발자를 대거 확충, 내년쯤에는 글쓰기 이외에도 다양한 생성 AI 서비스를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결국 이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통해 현재의 검색 포털과 같은 사용자 경험을 전달, AI 시대의 서비스 관문으로 자리 잡겠다는 구상이다.

김유빈 뤼튼 ML 엔지니어가 프로프트 엔지니어링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김유빈 뤼튼 ML 엔지니어가 프로프트 엔지니어링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더불어 제성원 CPO와 김재민 LMOps리드, 김유빈 ML 엔지니어 등은 대화형 생성 AI에 있어 프롬프트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뤼튼이 국내 최초로 진행한 프롬프트 엔지니어 공채 배경과 이를 통한 뤼튼의 AI 생태계 비전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특히 김유빈 ML 엔지니어는 "프롬프트 엔지니어라는 단어가 언젠가는 사라질 것은 인정하나, 그들의 능력은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그 근거로 “프롬프트 엔지니어는 'AI 심리학자'와 같다"며 "AI 심리가 인간과 무엇이 다른지를 분석하는 자체가 데이터가 돼, 프롬프트 엔지니어의 인기가 사라져도 AI에 대한 정보로 중요하게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 대표는 “전 세계적으로 생성 AI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는 가운데 '모두를 위한 AI'를 함께 의논하고 모색하고자 이번 컨퍼런스를 개최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주영 기자 juyoung09@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