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는 서울 XR실증센터에서 국내 확장현실(XR)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미래 시장 선점을 위한 'XR 융합산업 동맹'이 출범했다고 16일 밝혔다.
XR은 VR(가상현실), AR(증강현실), MR(혼합현실) 등 현실과 디지털 가상세계를 연결하는 몰입형 기술을 총칭하는 말이다.
아틸러리 인텔리전스는 지난해 12월 자료를 통해 XR 산업의 글로벌 시장 규모가 연평균 성장률이 39.7%로 2021년 189억달러에서 2026년 1007억달러로 확대할 것을 예상했다.
스마트폰 시장 포화, TV시장 정체를 극복하는 차세대 먹거리로 떠오르고 있으며, 특히 선도 기업 메타에 이어 삼성전자와 애플까지 참여를 선언하고 있어 국내 XR 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관련 산업간 유기적인 협력이 필요한 상황이라는 분석이다.
지난 5월 산업부가 발표한 '디스플레이산업 혁신전략'에 따라, XR 부품-세트-서비스기업(8곳), 유관기관(4곳)들은 국내 공급망 구축 및 협업 생태계 조성을 목적으로 XR 융합산업 동맹을 결성했다.
▲정부 측에서는 산업부 ▲기업으로는 삼성전자, LG전자, 피앤씨솔루션,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 레티널, 버넥트 ▲기관으로는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한국전자기술연구원,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 등이 참석했다.
앞으로 참여 기업들은 XR 기술로드맵 수립, 협업모델 개발, 전문인력 양성 등 기반구축과 미래전략 수립을 위해 긴밀히 협력할 예정이다.
아울러 XR산업의 주요 현안과 수출·투자 관련 애로사항을 논의하는 간담회를 마련, 해외시장 개척, 인력양성, 사업화 지원 등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
주영준 산업정책실장은 “오늘 출범한 XR 융합산업 동맹을 통해 패널, 센서, 광학 소프트웨어 등 국내 기업들이 보유한 기술력을 하나로 결집하여 세계 XR시장을 빠르게 선점하고, XR기기와 관련 핵심 부품이 수출주력품목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